profile
8362 37 16
muko.kr/3979922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첨부


202309142023355672_l.jpg

 

인간은 어둠 속에서 흑백으로 본다. 사물을 명암으로만 보는 것은 특별한 감성을 준다. 명암만으로 사물을 파악하는 건 눈에 있는 간상세포가 하는 일이다. 간상세포는 빛의 밝기에 민감하며 색을 구분하지 못한다. 빛이 약한 밤이나 어둠 속에서는 주로 간상세포가 활동한다. 사진과 영화가 총천연색의 컬러로 바뀐 지 오래되었음에도 흑백 사진이나 영화가 사라지지 않는 이유는, 그것 또한 사람이 세상을 보는 방식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흑백 영화를 보면, 캐릭터의 내면이 더 잘 보인다.

 

김지운 감독의 영화 <거미집>은 70년대 한국영화와 영화 촬영을 소재로 하고 있다. 서슬 퍼런 박정희의 유신 시절을 담고 있다고 해서 이것이 정치적인 영화인가? 혹은 70년대 영화, 특히 김기영 감독의 <하녀>등을 모티브로 했다고 해서 한국영화의 역사나 지식이 많아야만 볼 수 있는 시네필들의 영화인가? 그런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된다. 물론 알면 아는 만큼 보이는 부분이나 재미도 있겠지만, 영화는 현실을 반영하는 법이다. 바로 지금, 영화를 보러 온 관객인 당신, 당신만이 아는 그 이야기가 영화 속에 반영된다. 그것이 바로 영화다. 누군가에겐 배꼽이 빠질 만큼 웃픈 이야기이고, 누군가에겐 창작의 고통이 드러난 블랙코미디이고, 누군가에겐 그 시절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영화가 된다.

 

시작부터 '영화의 마지막을 바꾸면 명작이 된다'는 생각에 빠진 김열 감독. 하지만, 왜 그런 생각에 사로잡혔을까?

 

 

 

common_20230829_171701.jpg

창작이란 무엇인가

김열 감독(송강호)은 내내 끊임없이 고뇌하고, 자신의 영화를 비방하는 평론가들을 혐오하고, 창작가에겐 암흑기인 정치적인 상황을 두려워한다. 그는 데뷔작 <불타는 사랑> 이후에 무엇하나 제대로 된 영화를 만든 적이 없다. 그는 그저 그런 치정극만 만들어왔다. 김열 감독은 이번에야말로, 무언가를 보여줘야겠다는 결심을 한다. 아니, 그러지 않으면 안 된다는 생각에 사로잡혀있다. 창작을 한다는 것, 세상에 없는 이야기를 만든다는 것은 즐겁지만 고된 일이다. 

 

이야기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거나, 춤을 추거나, 노래를 하거나, 영화를 찍거나하는 모든 창작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이 있다. 창작자 본인이 어떤 사람인지 틀을 깨고 나와 사람들 앞에서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자신의 기쁨과 행복, 심지어 더럽고 추악한 면까지도 드러낼 줄 알아야 창작을 할 수 있다. 때론 자신의 사회적 신념을 드러낼 줄도 알아야 하고, 옳다고 믿는 것들에 목소리를 높일 줄도 알아야 한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단지 내면의 날것을 드러내는 것이 창작은 아니다. 그것은 그냥 감정에 불과하다. 창작의 영역에 들어서려면 표현과 연출에서 '기술적인' 부분이 요구된다. 노래로 예를 들자면, 자신의 기억과 감정을 담아 노래를 해야 하지만 자기가 노래를 부르다 먼저 울어버려서 노래를 망치면 안 된다. 그렇다고 무조건 덤덤하게 불러서도 안되고, 듣는 관객에게 적절한 감정을 전해주는 표현 기술이 필요하다.

 

마음과 기술. 이 두 가지는 만화 <유리가면>에서 창작의 중요한 주제로 등장한다. <유리가면>의 두 천재 배우 마야와 아유미는 서로 정 반대의 끝에 있는 배우다. 마야는 외모도 평범하고 연극 경력도 오래되지 않았지만, 누구보다 배역에 진심으로 빠져들 줄 안다. 아유미는 외모도 예쁘고 연극 경력도 길고, 각종 테크닉을 배워 표현 기술이 누구보다 높은 사람이다. 보통 '중요한 건 마음이다!'라며 외치는 감성적인 이야기들과 달리, 이 둘 중에서 우위는 아유미에게 있다고 그들의 스승은 말한다. 창작의 영역에서 기술이 받쳐주지 않는 마음은 무의미하다.

 

<거미집>의 김열 감독은 당대 최고의 신감독의 조감독 출신이다. 그 정도면 촬영과 편집의 기술적인 부분은 거의 다 배웠다고 해도 무방하다. 그런 그가 왜, 인정도 받지 못하는 치정극만 찍고 있는 것일까.

 

 

 

[이하 스포일러 포함]---------------------

 

 

IE003210142_STD.jpg

창작은 현실의 반영

창작이 단순한 '거짓말'이 아니라 '작품'이 되는 이유는, 그것이 현실을 반영하기 때문이다. 김지운 감독의 <거미집>은 제목부터 영화 속 영화인 김열 감독의 <거미집>과 일치한다. <거미집>은 이민자(임수정), 강호세(오정세), 한유림(정수정)이 등장하는 치정극이다. 김열 감독은 항상 꿈을 꾼다. 문을 덜그럭 거리다 창문 밖에서 눈을 희번뜩거리며 "문 열어!"로 시작하는 새로운 영화장면에 대한 꿈. 그러던 그가 재촬영의 고민으로 세트장 안에 고해소에 들어가 문을 걸어 잠그고 있자, 감독의 새 시나리오를 읽은 미도(전여빈)는 고해소 문을 덜그럭 거리며 열려고 하다 고해소에 들어와 작은 문을 열고 눈을 희번뜩거린다. "감독님, 최고예요!"

 

김열 감독의 <거미집>은 이렇게 영화 속 상황이 촬영 현장이나 배우의 실제 상황과 맞물린다. 치정극을 만들었더니, 극 중 배우끼리 실제 사귀고 있다. 배우가 술 마시고 쓰러져서 김열 감독 자신이 대역으로 들어간 사냥꾼은, '노예의 삶'에 대해 토로한다. 머슴살이와 조감독으로 일하던 김열 감독은 완전히 극에 빠져든다.

 

그중 가장 최고는, 강호세가 자신의 아이를 한유림이 가진 진실이 밝혀지는 부분이다. "제 아이를 임신했다고요!" "오빠 아이 아니에요!" "헉..." 이 부분은 김열 감독의 거미집에도 최고의 막장 장면으로 나온다. "내 아내가 내 이복동생이라니!" "무슨 소리! 난 당신의 동생이 아니야!" "휴 다행이다..." "아니다! 넌 내 딸이야!" " 내 이복동생이라니! 으아아!" 현실에 대한 반영은 영화에 진실성을 부여한다. 거미를 진짜로 싫어하는 한유림에게, 소품용 거미가 아닌 진짜 거미를 쓰는 이유를 묻자 자신은 그저 진짜를 보고 싶을 뿐이라고 열변을 토한다.
 
김열 감독은 세상이 자신의 영화를 몰라본다며 투덜거린다. 평론가는 창작자에 대한 복수를 하는 거라고 말하거나, 촬영을 방해하는 공무원들, 정치 현실이 무서워 눈치를 보는 제작자와 스텝들. 그리고 진실성이 없는 배우들. 그러나 그 모든 고뇌 속에 진심으로 자리 잡은 것이 있다. 그 마음은 그가 스승으로 여기던 신감독의 환영으로 나타난다. 영화가 잘 안 되는 이유를 이야기하자, 신감독은 김열 감독에게 "그게 정말 전부인가?"라며 되묻는다. 그제야 김열 감독은 이야기한다. "제가 재능이 없는 걸까요?"


사실 외부를 향하던 모든 것들은 핑계일 뿐이고, 김열 감독은 자신의 안이 사실 텅 비어있는 것은 아닌지, 창작으로 표현할 내면이 없는 것은 아닌지 의심하고 있었던 것이다. 거기에 신감독의 환영은 답한다. 자기 자신을 믿으라고. 김열 감독 본인이 재능이 있건 없건 그것이 중요한 게 아니다. 사실 그는 내면의 이야기를 밖으로 꺼내본 적도 없다. 진짜 자신의 이야기를 해본 적이 없다. 해야만 할 것 같은 영화의 결말 재 촬영. 그것은 그의 진짜 자신의 이야기를 담은 이야기였다. 진짜 거미를 왜 쓰냐는 질문에 "그 커다란 스크린에서 거짓말하고 있는 자신을 보면 안 불편해?"라고 김열감독이 말하는 건, 어쩌면 배우가 아니라 자기 자신을 이야기하던 것은 아닐까.
 

 

 

515792_517144_2728.jpg


이야기 속에 감춰진 진실

신감독이 불에 타 없어지는 환영은 그의 뇌리에 남아있는 신감독의 마지막 모습이었다. 죽음을 불사할 정도로 자기 작품에 대한 확신을 가진 열정적인 모습. 그런 창작의 광기를 바로 옆에서 마주했으니, 어쩌면 김열 감독은 내면을 드러낸다는 것이 그렇게 대단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강박에 사로잡혀있던 걸지도 모르겠다. 어찌 되었던 그는 스승인 신감독의 그늘에서 벗어나야 하고, 자신의 이야기를 해야 한다.

 

신감독이 불에 타 죽던 날, 신감독을 구하는 것보다 부인인 백 회장(장영남)은 금고 속 돈을 챙기고 김열 감독은 신감독의 시나리오를 챙긴다. 그 시나리오는 그가 그토록 자기가 쓴 거라고 부르짖던 데뷔작 <불타는 사랑>이었다. 백 회장은 김열 감독의 재촬영 시나리오가 자신들의 이야기라는 것을 눈치채고, 김열 감독에게 넌지시 경고한다. 김열 감독은 재촬영 시나리오에 대해 내내 부인한다. 정치적인 것도 아니다. 백 회장과 나의 이야기를 고백한 것도 아니다. 그냥 이렇게 해야 명작이 될 것 같다.

 

영화 <더 메뉴>에서는 창작가가 어떻게 창작물을 만들었는지, 그 진실을 알게 되면 평론가들이나 관객은 그것을 전혀 다르게 볼 것이라는 이야기를 한다. 창작물에 담긴 실제 비하인드 스토리가 창작물 홍보에 도움이 될 때도 있지만, 때론 너무 별게 아니어서, 때론 너무 추악한 것이어서 드러낼 수 없는 것들도 많다. 그리고 창작가 그것을 드러낼 때는 섞어 버무려 변주해서 만들기 때문에, 그게 그 이야기인지 봐도 모를 수도 있다. 그래서 창작물의 의도를 작가에게 꼬치꼬치 묻거나, 어려운 용어들을 뒤섞어 있어 보이는 해설을 다는 현대예술은 진짜 예술의 본질을 벗어난 '예술팔이'에 불과하다. 창작물은 만들어진 순간부터, 해석하는 것은 관객의 몫이어야 한다. 

 

김열 감독의 <거미집>은 다 만들어져 결말이 상영된다. 영화 속 죄의 그물은 거미줄처럼 얽혀있어 이미 누가 피해자고 누가 가해자인지 알 수 없게 되어버렸다. 죄와 욕망이 뒤섞인 지점에 마지막으로 살아남은 한유림의 눈앞에 나타난 것은 금고 속의 거대한 거미였다. 거미를 끔찍하게도 싫어하는 한유림은 거미에게서 도망치다 계단에서 떨어져 죽고, 거미는 그 모든 사람들을 고치로 만들어 매달아 껍데기만 남기고 영원히 박제한다. 모든 이의 죄에 대한 처벌이자, 김열 감독 자신이 가지고 있는 죄책감의 승화다. 이 이야기가 무엇을 말하는지 아는 사람은 백 회장과 김열 감독 둘 뿐이다. 관객에게 박수를 받는 중에서도, 그는 처음으로 진심을 담아 자기 내면의 이야기를 말하는 데 성공했다. 그리고 영화적으로도 성공했다. 

 


 

쏟아지는 박수 속에서도 씁쓸한 그의 표정은, 명작으로 재탄생한 자신의 추악한 과거에 대한 감정이다. 고해소에서 미도에게 이 이야기가 명작이라고 평가받던 그 순간처럼, 김열 감독은 <거미집>을 통해 관객에게 고해를 해냈다. 어쩌면 우리가 알지 못하지만, 김지운 감독은 <거미집>을 통해 자신의 진짜 이야기를 하고 싶었던 건 아닐까. 영화는 현실의 반영이니까. 이 영화가 이상하지 않냐고 끝없이 묻는 김열 감독의 모습이, 남들이 이상하다고 하는 영화를 만들어온 김지운 감독 본인의 이야기일까. 어떤 부분이 김지운 감독 자신의 이야기인지, 그것이 과연 추악한 것인지 웃긴 것인지 별것 아닌 것인지 알 수 없더라도 말이다. 

 

하지만 그것이 무엇이든 간에, 나는 당신의 이야기를 보며 배꼽이 빠지도록 웃었다. 

정말, 눈물 나게 웃겼다.

 

 

 

출처: 본인 브런치스토리

https://brunch.co.kr/@casimov/207

 

 


profile 카시모프

별들 사이를 여행하는 방랑자.

 

이전 다음 위로 아래로 스크랩 (5)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첨부
  • 알폰소쿠아론 2023.10.05 13:22

    와 잘 읽었습니다! 김열 감독의 과거가 밝혀지면서 내면이 어둡고 공허한 인물이라고 생각은 했지만, 앞선 대사 "거짓말하는 거 안 불편해?"와 연결짓진 못했는데 띵해지네요ㅎㅎ 

  • @알폰소쿠아론님에게 보내는 답글
    profile
    카시모프 2023.10.05 13:30
    끊임없이 내면의 이야기를 외부에 핑계대던 인물 같아요. 결국 해냈지만, 그 모습이 바로 김지운 감독 본인의 모습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더라구요 ㅎㅎ
    잘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profile
    뚱스데이 2023.10.05 15:51
    결말이 결국 신감독에게 영원히 벗어나지 못했다고 해석했는데, 왠지 카시모프 님 해석이 긍정적이라서 좋네요!
  • @뚱스데이님에게 보내는 답글
    profile
    카시모프 2023.10.05 15:53
    진짜 자신의 이야기를 했다곤 해도, 결국 그것마저 신감독과 관련된 이야기이기 때문에... 사실 좋은 감독이 되었는지는 신감독과 관련이 없는 자신의 이야기를 다음 작품으로 어떻게 만들었느냐가 중요할것 같긴 해요 ㅎㅎ
    잘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 profile
    Nashira 2023.10.05 23:29

    흑백+후시녹음의 고전 영화를 본적도 별로 없고 영화업계를 1도 모르지만...
    전 아주 빵빵 잘터지면서 굉장히 재밌게 즐긴 영화였어요.
    분야는 다르지만 창작자+리더의 외로움과 불안감에 쪼꼼 공감하면서 보기도...ㅎㅎㅎ
    전 마지막 김열의 표정이 오묘해서...
    불타는 엔딩씬마저 신감독의 그림자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것처럼 느꼈기에...
    개인적으로 김열의 차기작이 과연 괜찮을지 의문이 들기도 했습니다.

  • @Nashira님에게 보내는 답글
    profile
    카시모프 2023.10.06 02:41
    자신의 아픔을 드러냈는데 박수를 받는... 그 오묘한 마음은 창작자 본인과 그일을 아는 사람만 아는거죠 ㅎㅎ 김열감독이 정말 텅 빈 사람이라면 이것으로 끝이겠고, 자신을 더 드러낼 줄 아는 사람이라면 진심을 담아 걸작을 또 만들지 않을까요 ㅎㅎ 저도 이영화가, 굳이 한국영화 역사를 몰라도 빵빵 터지는거라고 생각했습니다. 막장 드라마는 요새도 나오는것이니 ㅎㅎ
  • profile
    초코무스 2023.10.06 01:15
    유리가면 오랜만에 보는 이름들이라 반갑네요ㅋㅋㅋ
    진짜 거미 이야기 하는 씬에서 "거짓말 하는거 안불편해?" 이 대사가 처음엔 진짜 배우에게 촌철살인 하는 말이라고 느꼈는데 신감독 죽는날 대본 챙기는 장면 본 후 아 김열 본인 자신에게 하는 말이구나 했습니다.
    그래서 엔딩씬에서 모두 거미집 내의 거미집 상영이 끝나고 박수치는데 혼자 즐기지 못하고 허탈해 있는듯 해보였고요.
    깅지운 감독과는 연관 지어서 생각해보지 않았는데 무코님 글보고 이 부분 곱씹으면서 한번 더 봐야겠습니다. 깔끔한 리뷰덕에 제 생각도 잘 정리되서 좋네요!
  • @초코무스님에게 보내는 답글
    profile
    카시모프 2023.10.06 02:43
    김지운 감독 이야기는 제 추측입니다. 그렇다고 김지운 감독이 누구의 시나리오를 갖다 썼다거나 불륜을 했다거나의 이야기보다, 항상 이상한 영화를 만들면서 이상하다고 스스로에게 되묻는 모습이 자신이 아니었을지 생각해봤어요. ㅎㅎ
    공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 profile
    조부투파키 2023.10.06 14:00
    좋은 리뷰 감사합니다.
    김열은 본인 스스로의 죄의식을 덜어내기 위해, 걸작을 만들겠다는 창작욕에 불태우지만
    영화 제목처럼 거미집 그러니깐 거미줄에 얽힌것 처럼, 신감독의 영향, 그늘에서 벗어나기 위해 발버둥 치는 것 처럼 보였습니다.
    하지만 시나리오를 훔치고, 그 죄의식에 의해 만들어진 '거미집'에서 조차 김열은 신감독을 벗어 날 수 없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나름 걸작으로 만들어지긴 했지만 신감독의 영향을 외면할 수 없었기에 극 중 '거미집' 상영 후에도 공허하게 보인게 아닌가 생각듭니다.
    결국엔 창작욕이라는 욕망 조차도 거미줄에서 벗어나려고 발버둥 쳐도 벗어날 수 없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네요.
    간만에 좋은 한국 영화 인 듯 하여 오늘 2회차 감상하려 합니다.
  • @조부투파키님에게 보내는 답글
    profile
    카시모프 2023.10.06 17:07

    ㅎㅎ 그렇게 해석할 수도 있지요. 이 영화 일반인도 즐길수 있을만큼 되게 좋고 웃긴 영화인데, 관객이 <더 문>보다 안나올 것 같아서 너무 충격적입니다 ㅠㅠ 어려운 영화 아닌데 어려운 영화처럼 비춰지는거 같아요. 
    잘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 갈gal 2023.10.08 15:19
    괴수물 드리프트 엔딩일까요..... 저도 이래저래 현장일 하는 사람에 1인영화 만드는 사람이라 이런 소재는 늘 흥미롭네요.
  • @갈gal님에게 보내는 답글
    profile
    카시모프 2023.10.08 17:18
    저도 예전에 영화쪽에서 일하며 연출부 스텝은 아니지만 현장에도 참여했었었는데요, 영화 현장이라는게 참 숨막히더군요 ㅎㅎ 영화를 잘 찍는다는게 그 많은 사람과 현장을 다룰줄 알아야 한다는것도 참.. 거미집은 그런 여러가지 감독의 고뇌를 코믹하게 잘 짚어낸것 같아요 ㅎㅎ
  • profile
    공포조아 2023.10.15 12:04
    2회차를 봐도 정확한 내용을 파악하기 힘들었는데
    좋은 해석 리뷰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ㅠㅠ 덕분에 거미집 영화에 대해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됬습니다!
    저또한 막줄처럼 김열 캐릭터가 본인을 투영을 해서 만들어낸 캐릭터가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극중내내 김열이 김지운감독과 많이 비추어 보이더라고요!

    vod로 출시되면 3회차까지 감상해야겠네요ㅎㅎ
    혹시 영화화란 결말부분에 대해서도 해석 리뷰 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 @공포조아님에게 보내는 답글
    profile
    카시모프 2023.10.15 14:35
    ㅎㅎ 잘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영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되었다니 기쁘네요 ㅎㅎ

    화란은 저번주에 보고 이미 내일 올리려고 하던 차였습니다. 영화 해석은 시와 같아서 사람마다 다를 수 있지만.. 즐겁게 봐주세요 ㅎㅎ
  • profile
    신아일랜드 2023.10.17 18:46
    창작 : 한마디로 힘든거요
  • @신아일랜드님에게 보내는 답글
    profile
    카시모프 2023.10.17 21:15
    ㅎㅎ 네 창작은 힘들지요

칼럼 연재를 원하시면 <문의게시판>을 통해 문의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글쓴이 날짜
파트너 계정 신청방법 및 가이드 file admin 2022.12.22 508761
[CGV,MEGABOX,LOTTE CINEMA 정리] [51] file Bob 2022.09.18 534118
💥💥무코 꿀기능 총정리💥💥 [107] file admin 2022.08.18 869789
무코 활동을 하면서 알아두면 좋은 용어들 & 팁들 [70] admin 2022.08.17 612657
게시판 최종 안내 v 1.5 [66] admin 2022.08.16 1275863
(필독) 무코 통합 이용규칙 v 1.9 admin 2022.08.15 459231
더보기
와일드 로봇 조부투파키 2024.10.04 910
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 평가(스포) Oddeyes 2023.02.15 356
U+tv 모아 출석만 해도 스타벅스가?! file 엘지유플러스 파트너 2024.10.02 9154
Godfather 1, 2는 진정으로 절대 명작인가? file
image
2024.10.04 4627
<조커:폴리 아 되> 당신은 조커에게 아무 관심도 없다 [33] file
image
2024.10.03 10277
[장손-2] 이 집안이 겪었을 이 땅의 역사와 세대감각 (스포) [2] file
image
2024.10.01 11960
<트랜스포머 ONE> 변신이란 무엇인가 [19] file
image
2024.09.26 21549
[장손-1] 콩/씨앗을 으깨 두부로 만들고 꽃을 태우는 집안 (스포) [8] file
image
2024.09.25 14088
영화 <새벽의 모든> 힐링 영화의 정석 | 당신의 편도체는 안녕한가요? [10] file
image
2024.09.22 5198
<장손> 지켜야 할 것, 감춰야 할 것 [13] file
image
2024.09.19 6292
B급 헐리우드 오락 영화의 최고봉?? 수준 작품 [2]
2024.09.16 7644
<스픽 노 이블> 악이 번식하는 사악한 방법 [19] file
image
2024.09.12 7685
Star Wars가 재미 없는 이유 [43] file
image
2024.09.10 8040
Tim Burton의 저평가 받는 진짜 명작 [30] file
image
2024.09.06 7765
<원맨> 누가 성인이고 누가 죄인인가 [8] file
image
2024.09.05 3827
(영재방)내가 겪은 '에이리언:로물루스'의 어색한 부분들과 1편과의 사이에 있었던 사건(약스포) [3]
image
2024.08.30 5308
<킬> 살인과 광기의 경계 [15] file
image
2024.08.29 5362
Alien 시리즈보다 뛰어난 괴물 영화 ?? [20]
2024.08.28 3695
Judge Dredd 장르를 말아 먹은 실베스터 스탤론 [7] file
image
2024.08.24 4883
<트위스터스> 길들여지지 않는 것을 길들이기 [4] file
image
2024.08.22 3720
<에이리언: 로물루스> 아맥 VS. 돌비 (노스포 가이드 리뷰) [16] file
image
2024.08.17 3521
(영재방) 에이리언:로물루스 분석후기 - 시작부터 후속작까지 [2] file
image
2024.08.17 9047
<에이리언: 로물루스> 잡아먹는 것보다 더 무서운 것 [4] file
image
2024.08.15 2408
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