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1711 44 20
muko.kr/2580468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한국영화는 위기입니다.

범죄도시3이 대흥행을 했음에도 위기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극장에서 볼 영화와 보지 않을 영화.

극장에서 볼 영화와 보지 않을 영화가 더욱 극명하게 갈렸습니다. "한번 봐볼까"가 거의 사라졌음이 드림 관객수와 범죄도시3 관객수의 차이를 통해 드러났다고 봅니다. 사람들은 각종 영화정보를 예전보다 훨씬 많이 접하고서 "이건 극장에서 봐야겠다"를 결정하고, 극장에서 볼 영화가 아니라는 결론이 나면 철저히 외면합니다.

 

이는 이미 인터넷을 통해 영화후기가 빠르게 퍼지기 때문입니다. 또 사람들은 그 후기들을 꾸준히 접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범죄도시3은 개봉주에 저런 기록을 세울 수 있었던 겁니다.

 

 

2. 외면당하는 극장에서 보지 않을 영화들

이를 통해 극장에서 보지 않을 영화로 낙인 찍힌 영화들은 더욱 외면당할 것입니다. 1회관람비용이 비싸진 만큼, 극장에서 보지 않을 영화를 "그래도 한번 볼까?"하는 사람들이 크게 줄어들었기 때문입니다. 적당히 방만하게 레퍼런스 영화 베껴서 만든 다수의 한국영화들은 이제 외면당할 것입니다. 

예전처럼 너그럽게 봐주지 않을 것입니다. 문제는 이미 만들어진 영화들입니다. 이들을 구제할 방법이 없습니다. 또 이들을 구제할 이유도 없습니다. 시장경제에서 투자실패를 정부가 구제해주진 않기 때문입니다.

 

3. 작품성이 뛰어나지만 상품성이 적어 투자받지 못할 영화들

작품성이 뛰어나지만 상품성이 적으면 투자받지 못할까봐 우려됩니다. 극장에서 볼 영화의 선택기준이 작품성이 아닌 상업성임을 (시기적 차이가 있지만) 헤어질 결심과 범죄도시3 관객수차이를 통해 알 수 있었습니다. 이제는 그정도 검증된 감독이 아니면 시도조차 못할 것 같습니다. 이 의미에서 위기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상업성이 잘못은 아니지만 작품성과 무관하게 상업성이 강해야 팔리는 상황이 왔고, 투자를 결정하는 사람들도 작품성보다 상업성을 기준으로 투자여부를 결정할 것 같습니다.

 

4. 누가 위기인가

지금까지 만들어온 한국영화들은 방만하게 대충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큽니다. 이들을 구제해주자는 것이 아닙니다. 삼성전자를 85층에 산 사람이 위기라고 해서 국가에서 구제해주지는 않습니다. 

 

제 생각에는 극장 체인들이 본인의 몫을 줄여야합니다. 이 위기에서 독점에 가까운 극장체인들만 우는척 힘든척 하고 있습니다. 변화의 불길을

부채질한 것은 코로나시기동안 3천원가까이 표값을 올린 극장체인입니다. 극장영화의 가치를 강조하면서 인건비를 극한으로 줄이고 극장관람환경을 악화시켰던 위선적인 극장체인입니다. 2019년 관람환경이 요즘 관람환경보다 훨씬 좋았는데도, 극장은 아직도 요금을 내릴 때가 아니라고 웅얼거립니다.

 

이들이 정부에게 뻔뻔하게 지원을 요청하는게 우스울 따름입니다. 국민의 세금이 만만한가봅니다. 

 

 

3줄요약

1. 사람들은 이제 극단적으로 극장에서 볼 영화 안볼 영화를 구분하기 시작했다.

2. 작품성보다 상업성을 크게 중시해서 판단하기 때문에, 작품성이 좋더라도 상업성이 떨어지면 투자단계 때부터 외면당할 가능성이 크다.

3. 극장체인들은 급격한 관람료 인상과 관람환경악화로 이 상황을 부채질했으면서 국민의 세금을 요구하는 것이 위선적이다.

 

 

어제 찾은 110만명의 관객들은, 누구보다도 극장에서 영화를 보고 싶어했던 사람들이었을거라 생각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3.149.214.32

3.149.214.32


profile Carol

정 원한다면.

이전 다음 위로 아래로 스크랩 (1)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 best movin 2023.06.04 09:58
    수 십 년 전부터 한국 영화는 위기 아니라고 할 때가 없었죠.

    지금 극장과 영화관에 사람들이 안 가는 건 경제 문제가 가장 크다고 봅니다.

    나라 경제가 개판이고 앞으로도 살얼음판이라

    당장 전기 요금 아끼겠다고 선풍기 판매가 폭증인 상황인데 개인들은 불필요한 지출부터 줄이는 게 우선이죠.
  • profile
    best Cayde666 2023.06.04 11:50
    지들이 말아먹은 수천억 해외투자 실패를 관객에게 떠맡는 개트롤링이 영화계를 아작냈죠
  • best movin 2023.06.04 09:58
    수 십 년 전부터 한국 영화는 위기 아니라고 할 때가 없었죠.

    지금 극장과 영화관에 사람들이 안 가는 건 경제 문제가 가장 크다고 봅니다.

    나라 경제가 개판이고 앞으로도 살얼음판이라

    당장 전기 요금 아끼겠다고 선풍기 판매가 폭증인 상황인데 개인들은 불필요한 지출부터 줄이는 게 우선이죠.
  • profile
    원스타 2023.06.04 10:00
    흥행할 영화를 내놔야죠.
    교섭 유령 드림 정도제외하고는 코로나전이면 스크린많이못받는 소규모영화들만 내놓고 정작 중요한작품들은 눈치보면서 창고에쳐박아만두니까요.
    카운트 리바운드 킬링로맨스등등 코로나전이면 스크린더못받았을거고 흥행기대작이아니죠. 메인급으로 조명받을영화도아니죠 사실
    멍뭉이 웅남이가 그주에대표작일정도로 배급사들이 영화를 안내놓으면서 위기라는건...
  • @원스타님에게 보내는 답글
    profile
    Carol 2023.06.04 10:04
    이것도 어느정도 맞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도 흥행한 영화가 있긴 있으니 아껴놨던 영화가 있다면 공개하길 바라요.
  • profile
    요시 2023.06.04 10:03
    삼성전자랑 한국영화는 항상 위기.
  • @요시님에게 보내는 답글
    profile
    Carol 2023.06.04 10:05
    ㅋㅋㅋㅋㅋㅋㅋ 그런거같기도 하네요
  • profile
    재키 2023.06.04 10:41
    한국영화가 위기가 아니었던적이 있었는지 그것이 알고싶네요. ㅋ
  • @재키님에게 보내는 답글
    profile
    Carol 2023.06.04 10:45
    적어도 2019년은 위기가 아니었던 것 같아요
  • @재키님에게 보내는 답글
    profile
    메이플스토리 2023.06.04 11:51
    위기에요 라고 외치면 위기가 되나요
    통계는 누군가 조작하지만 않는다면 거짓말하진 않잖아여
  • Riko 2023.06.04 11:21
    이제는 치킨이랑 밥값 비슷한 수준으로 올라왔기 떄문에 먹는것과 대결해야 되서 빡세죠.
  • profile
    인티제전략가 2023.06.04 11:27
    1,2,3은 예전 부터 원래 그랬습니다. 앞으로도 그럴거고요.
    극장에서 볼 영화, 아닌 영화 / 외면 당하는 영화 / 투자 될 때 손익 여부은 항상 그래 왔습니다.
    1,2는 영화 가격이 올라서 그 기준이 높아졌다. 는 얘기 이신 거 같고
    3도 영화 투자 할 때, 작품성만 보지 않습니다. 손익 여부 당연히 보게 되고요.
    (투자자 어느 누구도 단순히 작품성이 좋은 이유만으로 투자 하지 않습니다. 만약에 그런 사람이 있다면, 앞으로도 그렇겠죠?)

    4는 코로나 시기에 식당이나, 다른 가게? 업종? 은 영업시간 제한이나, 모임인원 제한 하고 난 뒤 지원금이 꽤 많이 나왔지만, 극장 같은 경우에는 제한만 엄청 때리고, 단순히 대기업이기 때문에 정부지원이 전무 했습니다.
    차라리 제한은 안 하고 (코로나 걱정 때문에, 자연스럽게 관객이 줄었을 경우) 지원이 없었으면 모르지만, 제한이란 제한은 다 해놓고 지원은 대기업이라서 없었기 때문에 당연히 극장 체인들은 억울 할 수 밖에 없죠.
    테넷 같은 경우에는 거리두기 제한 (좌석 띄우기)가 거의 매일 바뀌다 시피 해서 예매를 받고 취소 하고를 매일 반복하다시피 했습니다. 그러면 당연히 다른 업종은 지원이 나가는데, 우리는 왜 안 나오냐? 소리 나올 수 밖에 없는 상황 아니었나요?
  • @인티제전략가님에게 보내는 답글
    profile
    Carol 2023.06.04 12:09
    1,2는 말씀하신대로 티켓가가 올라가면서 더욱 극심해졌다입니다.
    3 도 당연히 그렇겠죠. 다만 1,2의 여파로 경향성이 더 심해질 수 밖에 없다는 의미로 쓴 글입니다. 너그럽기 힘들다는거죠.
    4. 는 억울할 여지가 있는 것 같아요. 하지만 코로나 영업제한에 국한한 얘기이고 저는 극장 책임자가 "개봉지원금을 국가에서 주어야한다"는 주장을 더욱 많이봤어서 그 부분을 지적하고 싶었습니다. 앞 맥락에 못만든영화를 언급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개봉하지 못하고 창고에 있는 영화들을 왜 국가가 나서서 구제해줘야 하는지에 대한 이유는 아닌 것 같습니다.

    그리고 대기업이라는 이유로 별도의 지원을 하지 않겠다는 결정이 부당하다는 것에 대해서 시시비비를 따져봐야할거같은데, 저는 극장편은 들지 않을 것 같네요^^
  • profile
    best Cayde666 2023.06.04 11:50
    지들이 말아먹은 수천억 해외투자 실패를 관객에게 떠맡는 개트롤링이 영화계를 아작냈죠
  • @Cayde666님에게 보내는 답글
    profile
    Carol 2023.06.04 12:12
    이걸 한국에서 손실을 만회하려는게 전 더 불쾌해요 ㅋㅋ
  • @Carol님에게 보내는 답글
    무코무코무 2023.06.04 13:15
    한국의 어느 기업이건 다 국내에서 벌고 외국에서 푸는 거라... 오죽하면 한국에서 한국제품사는 것보다 해외직구가 더 싸다는데.
  • 산다는건 2023.06.04 12:02
    이제는 국내 영화든 해외 영화든 '잘' 만든 영화가 아니라 극장에서 볼 '가치'가 있느냐가 관람 선택의 0순위가 되어버렸죠
  • profile
    미국대장 2023.06.04 12:18
    정확한 분석이십니다.
  • 발없는새 2023.06.04 13:21
    25년전 티켓값 5천원 하던 시절에도 될 영화는 되고 안될 영화는 안됐어요ㅋㅋ 아직도 기억나는게 99년 설연휴엔가 쉬리, 마요네즈, 연풍연가, 화이트 발렌타인 등 네개의 한국영화가 나란히 개봉했는데 초대박 터뜨린 쉬리 빼고 굳이 극장에서 볼만큼의 메리트가 없던 나머지 영화들은(최진실, 장동건, 고소영, 박신양 등 당대의 톱스타들이 출연했던 영화들임에도 불구하고) 2주만에 대부분 간판을 내렸어요 당시엔 멀티플렉스도 흔치 않던 시절이라 안되는 영화는 바로바로 내렸죠
    코로나가 일정 부분 영향을 준건 맞지만 비디오나 tv, 불법 다운로드말고는 영상 컨텐츠를 딱히 접할 곳이 없었던 과거에 비해 오티티, 유튜브 등 다양한 문화 컨텐츠 플랫폼이 등장함으로 사람들이 굳이 비싼돈 내고 영화관을 갈 이유가 없어진게 가장 큰 이유같네요 근데 20세기에도 굳이 극장가서 볼 메리트가 없는 영화들은 5천원 주고 볼바에 비디오 나오면 1000원 주고 빌려서 보지 뭐 했던게 함정ㅋㅋ
  • @발없는새님에게 보내는 답글
    profile
    고라파덕 2023.06.04 13:33
    그러게요 꼭 영화관이 아니어도 영화를 접할수있는 컨텐츠들이 늘었고 접근성도 좋으니...
  • 무비레이블 2023.06.04 16:50
    문제는 창고에 있는 한국영화들에 투자 된 자금들이 묶여버린게 정말 악재입니다. 투자회사들의 투자->회수->재투자 의 사이클로 여태까지 영화판이 유지되어 왔었는데
    투자금이 동맥경화처럼 꽉 막혀버렸고 창고에서 꺼내기위해 수억~수십억원의 홍보비를 추가 지출해야함에도 손익분기점을 못 넘고 실패할 확률이 높은 상황은 암울하네요.
    저 많은 투자자들이 결국 영화투자를 손절해버리면 앞으로는 대작 몇몇개 빼곤 투자가 없어 제작을 못하는 상황이 오겠지요...
  • profile
    색유이 2023.06.04 22:48
    제일 어처구니가 없는건 극장 요금을 해마다 올려놓고는
    실제 현장 직원수는 반토막 가까이 내버린게 가장 어처구니 없네요. 극장 손님 입장에서도 일하는 미소지기들 입장에서도 정말 최악입니다. 코로나 이전시기와 비교해서 현재 미소지기들 개고생하는게 아주아주 확연히 느껴집니다

List of Articles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이벤트AD 무코 x 무비오어데스 영화관 향수 20,000원 [23] file
image
무비오어데스 파트너 2024.03.06 42678 35
공지 파트너 계정 신청방법 및 가이드 file admin 2022.12.22 358197 94
공지 굿즈 소진 현황판 정리글 [156] 무비이즈프리 2022.08.15 987489 174
공지 [CGV,MEGABOX,LOTTE CINEMA 정리] [38] file Bob 2022.09.18 361066 133
공지 💥💥무코 꿀기능 총정리💥💥 [103] file admin 2022.08.18 691263 201
공지 무코 활동을 하면서 알아두면 좋은 용어들 & 팁들 [62] admin 2022.08.17 441120 147
공지 게시판 최종 안내 v 1.5 [63] admin 2022.08.16 1073473 140
공지 (필독) 무코 통합 이용규칙 v 1.9 admin 2022.08.15 331291 168
더보기
칼럼 <퓨리오사와 실제역사-Ⅱ> 치유의 천사 나이팅게일➕ (반복되는 크림전쟁과 라파엘 / 스포) [2] newfile Nashira 19:22 258 2
칼럼 <퓨리오사와 실제역사-Ⅰ> 하마스 전쟁과 우크라이나 전쟁 (시온의 딸과 가스관 / 스포) updatefile Nashira 2024.05.31 708 3
현황판 하이큐!! 쓰레기장의 결전 굿즈 소진 현황판 [83] update 2024.05.13 31398 30
현황판 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 굿즈 소진 현황판 [14] updatefile 너의영화는 2024.05.08 7514 30
불판 6월 3일 선착순 이벤트 불판 [9] 아맞다 2024.05.31 4996 29
불판 5월 31일 선착순 이벤트 불판 [45] 너의영화는 2024.05.30 11408 43
이벤트 <하이재킹> 배우참석 무대인사 시사회 초대 이벤트 [210] updatefile 지앤이 파트너 2024.05.27 6167 156
쏘핫 개그맨 박성광 영화에 한줄평 남긴 평론가 논란.JPG [54] file
image
2023.03.17 7967 112
쏘핫 신작 소식과 함께 [41] file
image
2023.12.31 3588 111
쏘핫 8/16(화) 선착순 쿠폰 정리 [55]
2022.08.16 2822 105
쏘핫 레카 때 싸인 훔쳐 가신 여성 분 이거 보시면 쪽지 주세요 [43]
2024.02.23 9788 103
쏘핫 티모시 인기많은건 알겠는데요 [67]
2024.02.22 7895 103
쏘핫 산책하다가 마블 주연 배우 만날 확률 [31] file
image
2023.08.30 2926 97
쏘핫 이렇게 한국영화 꼬꾸라지는 걸 누굴 탓하리 [10]
2023.03.21 3798 93
쏘핫 역대급 태도였다는 영화 '바비' 마고 로비 내한..jpg (펌) [17] file
image
2023.07.02 2966 92
쏘핫 상호간 존중을 부탁드립니다. [11]
2022.11.26 2167 90
쏘핫 마고 로비 톰 애커리 부부 인성은 최고입니다 (경험담) [12] file
image
2023.07.04 5647 88
쏘핫 제가 싸인지 훔쳐갔다고 하신 분 허위사실로 고소하겠습니다 [42] file
image
2024.02.24 10845 85
쏘핫 인어공주 관련 글마다 조롱하는 댓글 보기 피곤하네요 [34]
2023.04.27 2386 84
쏘핫 한국영화 극장 생태계가 감추고 싶은 공공연한 비밀들. [21]
2023.03.21 2913 84
쏘핫 CGV<듄:파트2>3주차 IMAX 포스터 증정 이벤트 [46] file
image
2024.03.11 6354 82
쏘핫 듄2 시사회....... 당첨됐습니다!!!!!!!!!!!😭😭😭🥳🥳🥳🎉🎉🎉 [115] file
image
2024.02.20 4661 81
쏘핫 놀란 알쓸별잡 나오네요 [36] file
image
2023.07.24 2172 78
쏘핫 이번 인어공주 사태때문에 환멸이 나려 하네요 [81]
2023.05.24 4023 78
쏘핫 10시간 웨이팅의 결과... 너무 울고 싶네요 [34]
2023.07.02 2829 77
쏘핫 양조위 국내 팬클럽의 비밀 팬미팅 논란이 있네요 [32] file
image
2022.10.13 3762 76
쏘핫 봉준호 감독, 가수 윤종신, 故이선균 관련 기자회견 개최 예정 [11]
2024.01.09 4328 74
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
/ 2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