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시대 경제상황에 고물가는 사람들에게 어느 정도 스며들어와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고물가에 고통스러워 하면서도 결국 개인이 할 수 있는 것은 허리띠 졸라매기 뿐이기에 그러려니 하고 적응하게 됩니다.

 

근데 그러려니 할 수밖에 없는 주요 이유는 결국 고물가를 불러오는 초기 물가변동요인이 필수재인 경우가 대부분이었기 때문이었습니다.

 

집값상승(임대료 포함)

유가상승

곡물가상승 등

 

사람이 살아가면서 필요한 의식주는 결국 선택의 여지가 없기 때문에 받아들일 수 밖에 없었습니다.

 

그래서 보통 물가인상의 시작은 원자재 등의 필수재들이고 최종적으로 마지막의 마지막에 가서야 인건비가 오르죠.

 

이렇게 한 싸이클이 돌고 나면 사람들은 적응합니다.

 

근데 극장가 대빵은 역시 뭐가 달라도 달랐어요.

 

지들이 필수재도 아니고 원자재도 아닌 것들이 대뜸 대체 어디서 근거를 가져와서 분석했는지 모르겠는데, 누구보다 빠르게 남들과는 다르게 냅다 선제적으로 쳐 올렸어요. 

 

그 결과는 지금 자기들만 망하면 양반이고 영화판 전체를 박살내고 있네요?

 

문화생활은 결국 의식주에 포함되지 않는 걸 정말 몰랐던 건지 아니면 자기들이 의식주처럼 필수재라고 진심으로 믿고 자만한 건지 모르겠는데

 

이 괘씸한 것들은 티켓값 상승을 본격적인 인플레가 일어나기도 전에 했어요,

마치 티켓값상승이 인플레를 유도한 것처럼 보일 정도로요.

 

물론 쥐뿔도 안되는 시장규모로 진짜로 한 국가의 인플레를 견인했을 리는 없지만 문제는 이 시장은 결국 매체를 다루는 시장이고 많은 사람들에게 그런 쓸데없는 괘씸한 이미지를 스스로 보여줘 버렸다는 겁니다.

 

그 결과물은 영화 팬들에겐 정말 혐오에 가까울 정도의 반감으로, 평범한 일반 관객들에겐 '아니 언제 이렇게 비싸졌어;;?'라는 반갑지 않은 놀라움이 되었네요.

 

진짜 이게 무슨 바보같은 선택인지 모르겠어요. 그래서 요번 상반기 흑자 내서 즐거운가요? C사?

그 즐거움 언제까지 가나 지켜보고 싶습니다.

 

 

아마 티켓값 상승이 인플레 싸이클의 후반부 현상인 '결과'로서 나타난 거였다면 사람들이 이렇게까지 안 보진 않을 겁니다, 그냥 남들 다 하는 자연스러운 가격인상이라고 여겼지.

 

"아유...우린 고객님들 생각에 좀 더 버텨보고 싶은데 더 이상은 못 버텨서 올려요 ㅠㅠ 미안해요 ㅠㅠ"라고 이미지 포장이라도 잘 해서 마지못해 끌려가는 모양새였다면 적어도 이렇게까지 괘씸하진 않았어요.

 

정작 현실은 "볼거지?ㅎㅎ 니들이 안 볼 리 없으니 올릴게 ㅋㅋ 어차피 우리가 시장 과점에 3사 담합해도 니들은 볼거잖아 ㅋㅋㅎㅎㅈㅅ!" 했었죠.

 

화조차도 안 나더랍니다.

 

그러게 누가 앞장서서 그렇게 선봉장으로 하랬는지...

 

솔직히 시원하게 망했으면 좋겠다는 생각까지 해요. 

 

더 문 보고 그 생각이 확고해졌습니다.

 

이따위로 만들고 이렇게 돈 받을 거면 걍 망하자 그냥 

 

 

하...쓰면서 그라데이션 분노가 올라와서 힘드네요.

 

새벽에 뻘글 죄송하고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13.58.11.16

13.58.11.16


이전 다음 위로 아래로 스크랩 (1)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 best Riko 2023.08.19 07:00
    극장은 별 손해 없어요. 실질적으로 인상해서 수익은 났습니다.
    중간에서 소비자랑 영화계만 죽어나는겁니다.

    뭐 근데 소비자도 비싸면 안보면 끝이라 영화계가 제일 타격입니다.

    제일 역겨운건 극장이 국내 영화계가 너무 힘들다면서 언플하는게 역겹죠.
  • profile
    best 내꼬답 2023.08.19 06:26
    공감합니다. 올리기전과 후만봐도 저스스로 N차할거 덜하고, 특히 다양성 영화들에대해 박해졌습니다. 올리기전엔 이것저것 다 극장에서봤거든요. 근데 급격한 인상후 이걸 굳이 이돈에 극장에서?? 이런생각입니다. 아마 많은무코분들도 비슷하지않을까싶어요. 그리고 c사가 흑자가 나오든 적자가나오든 응원하거나 슬퍼하거나 하고싶진않네요.
  • profile
    best 리마인더 2023.08.19 05:24
    공감드립니다. 현재 한국 영화들이 흥행이 불안한 가장 큰 이유가 개인적으로 티켓 가격 상승 때문이라고 봅니다. 소위 극장에서 볼 가치가 있는 영화...라고 판단되면 비싸도 다 가서 보지만 예전에는 그래도 극장이 그나마 저렴한 여흥 거리이니 뭐 특별히 할 것 없으니 영화라도 보러 가자...이러면서 어중간한 영화들도 흥행이 꽤 되었지만 이제는 티켓 가격 검증(?)을 통과 못 하면 바로 아웃이죠. 아마 앞으로 더더욱 특히 한국 영화의 실패는 이어질 것으로 보이네요.
  • 영화에도른자 2023.08.19 04:21
    저는 오히려 극장 관객 감소는 팬데믹 이후의 소비 패턴 변화가 가장 큰 원인이고, 오히려 CJ의 영화값 인상은 (추하거나 더럽다고 비판받을지라도) 기업으로써 최선의 이득을 벌어들이기 위한 수단이였다 생각합니다. 시기가 너무 빠르긴 했지만 결과적으로 물가는 올랐으니까요. CJ가 흑자를 기록했다는 뉴스는 가장 일차원적으로 해석했을 때 CJ가 기업으로써 최선의 선택을 했다는 자료로 비춰지지 않을까요?

    그런데 제 해석을 적용하면.. 더 문은 표값이 만 원이였다면 더 크게 멸망했을 거라는 참담한 결론이..
  • profile
    best 리마인더 2023.08.19 05:24
    공감드립니다. 현재 한국 영화들이 흥행이 불안한 가장 큰 이유가 개인적으로 티켓 가격 상승 때문이라고 봅니다. 소위 극장에서 볼 가치가 있는 영화...라고 판단되면 비싸도 다 가서 보지만 예전에는 그래도 극장이 그나마 저렴한 여흥 거리이니 뭐 특별히 할 것 없으니 영화라도 보러 가자...이러면서 어중간한 영화들도 흥행이 꽤 되었지만 이제는 티켓 가격 검증(?)을 통과 못 하면 바로 아웃이죠. 아마 앞으로 더더욱 특히 한국 영화의 실패는 이어질 것으로 보이네요.
  • movin 2023.08.19 05:30

    영화표 가격도 가격이지만 경제 상황이 개판인 게 핵심적인 이유죠.
    말씀하신 대로 영화는 필수품이 아니기에 지금 경제 같은 상황에서는 가장 후 순위로 밀리게 됩니다.
    경제가 좋을 때는 가격 같은 건 별로 상관 안하고 관객들이 많아지구요.

    지금 같은 상황에서는 가격이 안 올랐거나 내려 간다고 해서 지금보다 크게 잘 될거라는 생각은 안들어요.

  • 매화 2023.08.19 05:31
    아시다싶이... 영화관 호황기 일때도 인상은 계속해서 이루어졌습니다.
    인상 이유는 CTRL+C, CTRL+V 였습니다 늘 이러 핑계로 우리 인상할꺼야 하고 말입니다.
    그때 당시야 영화관 만큼 시간대비 가성비 좋은곳이 없었기에 이해하고 넘어갔는데...
    코로나 시국에 늘 같은 이유에다 코로나로 인해서 3회나 인상 했죠 여기에 숨은 그림 찾기
    는 영화관 + 업계 모두 인상 합의에 동의 했다는 점입니다. 인상하는 동안에 사람들은 OTT
    에 코로나 시국 전 부터 시작으로 빌드업 해서 지금 정점으로 스며들기 시작했죠 가격인하
    가 답은 아니지만 정책적, 전략적 문제로 모두 다 같이 멸망했습니다.

    영화관 아니면 갈떼가 없는게 아니라 그 비용이면 다른데 즐길꺼리가 너무 많아졌습니다.
    영화관은 OTT 경쟁상대를 할께 아니라 사람이 즐길수 있는 모든 경쟁을 해야하느데...
    이 경쟁에서 영화관이 생존 할 수 없죠 지금 영화관 자체나 영화로서 매력이 없습니다 사
    람들은 이제 영화관을 연례 행사정도 수준으로 생각하고 방문을 합니다 1년에 1번정도는
    가줄께 그것도 아주 인기 있는 작품을 선정해서 말이죠 영화관은 사양산업이라 관객수는
    더 늘지 않기에 단관에서 멀티플렉스로 멀티플렉스에서 다중문화 와 OTT로 넘어가죠...
  • 알폰소쿠아론 2023.08.19 05:32
    코시국 동안 오른 티켓값은 사실 고물가 때문이 아니라 산업 외적인 요인으로 X박살난 극장가 상황 때문이죠.
    그 당시 사람들이 극장에 안갔던 이유가 전혀 가격 때문이 아니었기 때문에, 가격을 동결했거나 심지어 몇몇 분들이 주장하시는 대로 인하했으면 매우 높은 확률로 더 큰 적자를 기록했을 겁니다. 괘씸한 CGV지만 돌아보면 그 때는 그들 나름대로 합리적인 선택을 했다고 판단합니다. 
    코시국을 지나온 올해는 한번쯤 인하했으면 좋았겠다는 생각도 하지만, OTT의 존재감이 거대해져버린 지금은 솔직히 티켓값 천원 이천원 싸져봤자 극장 안 오던 사람들이 얼마나 더 보러올까 의문이 들기도 해서... 
    개인적인 생각에 극장업은 국내외를 가리지 않고 서서히 자리를 잃어갔을 사양산업인데, 코로나가 직격탄을 날린 거라고 봅니다. 
  • 버블티 2023.08.19 06:22
    전체적관객수는 줄어들었으니 영화계는 cgv가 앞장서서 위축시켰다고 생각해요.
    코로나+ott때문에 관객수 줄고있던거 가격올려서 기름부은거라 생각하고요.
    수원 메박보세요 5000원 영화 돌비 만원해주니 거의 싹다 매진이잖아요 가격이 상당부분 영향끼치는거같고요.
    가격올린걸 그들입장에서 잘했다고해주면 16000~17000원 빠르게 더 올릴겁니다.
    결국 그러면 일본처럼 정말 가는사람만 극장 가게될것같네요. 
    흑자인데 세금지원은 왜 해달라는지...지들이 올린거 세금지원해달라고만 안했으면 좋겠네요.
  • profile
    best 내꼬답 2023.08.19 06:26
    공감합니다. 올리기전과 후만봐도 저스스로 N차할거 덜하고, 특히 다양성 영화들에대해 박해졌습니다. 올리기전엔 이것저것 다 극장에서봤거든요. 근데 급격한 인상후 이걸 굳이 이돈에 극장에서?? 이런생각입니다. 아마 많은무코분들도 비슷하지않을까싶어요. 그리고 c사가 흑자가 나오든 적자가나오든 응원하거나 슬퍼하거나 하고싶진않네요.
  • best Riko 2023.08.19 07:00
    극장은 별 손해 없어요. 실질적으로 인상해서 수익은 났습니다.
    중간에서 소비자랑 영화계만 죽어나는겁니다.

    뭐 근데 소비자도 비싸면 안보면 끝이라 영화계가 제일 타격입니다.

    제일 역겨운건 극장이 국내 영화계가 너무 힘들다면서 언플하는게 역겹죠.
  • 아리그 2023.08.19 09:35
    한국영화만 힘들진거죠
  • 영화값을올려서안본다는건....이제 지겹죠
    코로나이후 두번의 여름이 모두 대패한 상황을보면
    비싸서 안본다가아니라 관람형태가 명확하게 변했다라고 하는 게 더 맞을겁니다.

    싸다고해서 나한테 필요하지도않은 물건을 막 사지는않자나요. 코로나이후의삶에서는 지금 막 영화보다 훨씬 재미있는게 많아졌고 볼드라마도 많아요

    여름 영화가 한주씩 개봉하면 모두가 윈윈했을까요?

    그래서 사람들이 더 안온다가 이젠 맞지않을까합니다.비싸서안온다하면 말이안맞는게 돌비시네마는 사상 최고매출 찍었고 그 중심에는 아바타2가있는거보면비싸서 사람들이 돈 없어서 영화안보는건 아니라봅니다.

    그래서 반대로 생각해보면 더 문 같은 경우는...
    아마 영화값인상전으로 지금의 매출땡겼다면
    아마 돈 더 못벌었겠죠...
  • @이호선열차가떠나갑니다님에게 보내는 답글
    티빙 2023.08.19 10:26
    특별관은 영화 좀 가서 본다하는 사람들이나 가지 일반 대중들은 돌비가 뭔지 용포디가 뭔지 모릅니다. 결론은 비싸서 안간다 오티티 본다가 맞죠.
  • @티빙님에게 보내는 답글
    profile
    낫투데이 2023.08.19 17:54
    그런데 사람들이 OTT로 보는게 영화가 아니라는게 문제죠.
    대부분 드라마지 영화는 아니더라구요.
    OTT 때문인건 맞지만 OTT로 영화를 봐서는 아닌듯 싶네요.
    과거 많은 이들이 불법 토렌트 등으로 영화를 봐왔지만
    그렇다고 지금같은 치명적인 관객수 감소로 이어지진 않았듯이 말이죠.
  • @낫투데이님에게 보내는 답글
    알폰소쿠아론 2023.08.19 19:14
    아뇨. 조금만 기다리면 OTT에서 보는데~ 하면서 극장 안가는 사람들도 충분히 많습니다. 
    코로나 이전에는 극장 훨씬 자주 갔던 사람들입니다.
  • 토마스투헬 2023.08.19 11:42

    최근 5년간 인건비 오른게 가장 큽니다.
    기업이든,자영업자든 같은 이유로 울며, 겨자 먹기식으로 가격인상을 진행 했습니다.

     

    영화 제작도 결국 인건비죠

  • 미카엘 2023.08.19 15:07
    뭐 인건비 임대료 다 올랐죠.
    인건비가 저렴하려면은 말 그대로 열정페이 시절로 가자는건데요 ㅎㅎ
  • 꼬부기꼬부기 2023.08.19 15:16
    상반기에 영화가 진짜 많이 나왔었으니 흑자본거지 하반기는 뭐 영화 나올게 없는데 ㅋㅋㅋ 알아서 적자 보겠죠

List of Articles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이벤트AD 무코 x 무비오어데스 영화관 향수 20,000원 [23] file
image
무비오어데스 파트너 2024.03.06 42678 35
공지 파트너 계정 신청방법 및 가이드 file admin 2022.12.22 358197 94
공지 굿즈 소진 현황판 정리글 [156] 무비이즈프리 2022.08.15 987489 174
공지 [CGV,MEGABOX,LOTTE CINEMA 정리] [38] file Bob 2022.09.18 361066 133
공지 💥💥무코 꿀기능 총정리💥💥 [103] file admin 2022.08.18 691263 201
공지 무코 활동을 하면서 알아두면 좋은 용어들 & 팁들 [62] admin 2022.08.17 441120 147
공지 게시판 최종 안내 v 1.5 [63] admin 2022.08.16 1073475 140
공지 (필독) 무코 통합 이용규칙 v 1.9 admin 2022.08.15 331291 168
더보기
칼럼 <퓨리오사와 실제역사-Ⅱ> 치유의 천사 나이팅게일➕ (반복되는 크림전쟁과 라파엘 / 스포) [2] newfile Nashira 19:22 258 2
칼럼 <퓨리오사와 실제역사-Ⅰ> 하마스 전쟁과 우크라이나 전쟁 (시온의 딸과 가스관 / 스포) updatefile Nashira 2024.05.31 708 3
현황판 하이큐!! 쓰레기장의 결전 굿즈 소진 현황판 [83] update 2024.05.13 31398 30
현황판 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 굿즈 소진 현황판 [14] updatefile 너의영화는 2024.05.08 7514 30
불판 6월 3일 선착순 이벤트 불판 [9] 아맞다 2024.05.31 4996 29
불판 5월 31일 선착순 이벤트 불판 [45] 너의영화는 2024.05.30 11408 43
이벤트 <하이재킹> 배우참석 무대인사 시사회 초대 이벤트 [210] updatefile 지앤이 파트너 2024.05.27 6167 156
쏘핫 무코 활동을 하면서 알아두면 좋은 용어들 & 팁들 [62]
2022.08.17 441120 147
쏘핫 [CGV,MEGABOX,LOTTE CINEMA 정리] [38] file
image
profile Bob
2022.09.18 361066 133
쏘핫 메박 이시아서 크리스마스 기적이 일어났네요 [29] file
image
2023.12.21 6059 123
쏘핫 개그맨 박성광 영화에 한줄평 남긴 평론가 논란.JPG [54] file
image
2023.03.17 7967 112
쏘핫 신작 소식과 함께 [41] file
image
2023.12.31 3588 111
쏘핫 김준수 콘서트 실황 영화 개봉 예정 [7] file
image
2024.05.14 4800 107
쏘핫 <듄: 파트 2> 글로벌 내한 확정 [39] file
image
2024.01.25 10926 106
쏘핫 8/16(화) 선착순 쿠폰 정리 [55]
2022.08.16 2822 105
쏘핫 레카 때 싸인 훔쳐 가신 여성 분 이거 보시면 쪽지 주세요 [43]
2024.02.23 9788 103
쏘핫 티모시 인기많은건 알겠는데요 [67]
2024.02.22 7895 103
쏘핫 산책하다가 마블 주연 배우 만날 확률 [31] file
image
2023.08.30 2926 97
쏘핫 최동훈 감독 : 티켓 가격 내려야한다 [36] file
image
2023.03.05 2800 97
쏘핫 [영화관 길찾기] 용산CGV, 코엑스메가박스, 영등포CGV 가는 법 (+지도) [45] file
image
2023.08.01 7426 96
쏘핫 이렇게 한국영화 꼬꾸라지는 걸 누굴 탓하리 [10]
2023.03.21 3798 93
쏘핫 역대급 태도였다는 영화 '바비' 마고 로비 내한..jpg (펌) [17] file
image
2023.07.02 2966 92
쏘핫 (스포/극극극불호) 난 강의들으러 온게 아닌데..( 바비 후기) [26]
2023.07.23 2408 91
쏘핫 상호간 존중을 부탁드립니다. [11]
2022.11.26 2167 90
쏘핫 마고 로비 톰 애커리 부부 인성은 최고입니다 (경험담) [12] file
image
2023.07.04 5647 88
쏘핫 제가 싸인지 훔쳐갔다고 하신 분 허위사실로 고소하겠습니다 [42] file
image
2024.02.24 10845 85
쏘핫 혼영족 객단가 이야기는 상처긴하네요 [76]
2023.08.14 4021 84
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
/ 36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