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개인 블로그에 썼던걸 가져왔습니다.

반말에, 병맛, 짤방의 욕설이 있으니 조금 가볍게만 봐주세요ㅋㅋㅋ

그럼 시작합니다!





오늘 들고 온 떡밥은 최초의 괴수물.


과연 최초의 괴수물은 어느 영화로 봐야 할까.

그러면 우선 괴수물의 정의를 먼저 내려야 할 필요가 있겠다.

괴수물을 어떻게 정의할지는 제각각의 생각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렇다면, 우선 괴수물에서 '괴수'에 대한 정의를 따로 내려야 한다.


왜냐고?


그야...

그것 자체가 괴수물이니까.





9080C5E5-EA59-4EC8-81DB-267294A24144.jpeg




뭐...우선은 괴수의 사전적 정의를 찾아봤다.


AD76C6EE-A434-4326-B922-66C23783DDBA.jpeg


911A35A7-CF83-4CEB-8A63-343AED6A4EEC.jpeg


표준국어대사전과 고려대한국어대사전에 따르면 그렇다고 한다.

괴상하게 생긴 짐승...

또는 공상 속의 짐승...

근데 짐승에 사람도 포함되는 것인가?


3C540FD0-D984-4853-980E-320FBD5A384A.jpeg


사람만 빼고 모두 짐승에 속하는 것 같다.

그러면, 위 괴수의 사전적 정의에 따라 괴수는 '괴상하게 생긴 상상 속의 짐승'으로 판별.

괴수물은 그러한 괴수가 주인공인 영화로 보면 되겠다.

자 그럼 최초의 괴수물이 무엇인지 찾아볼까나?

아니...

아직이다!



스크롤


멈춰!!






뭐를 또 해야 하냐면...

괴수물의 장르적 정의다...


4CD75226-D006-464F-8F3D-5533CC905DBC.jpeg




아니 갓직히...


28859686-B808-40B4-9558-6DF55B9A66A9.jpeg4755E12C-C733-40D4-8CEF-5B0387DF1208.jpeg


얘네 둘을 같은 장르물로 안 묶고 있지 않은가...?

보통 용가리, 고지라, 가메라, 킹콩 등 집채만 하거나 그것보다 거대한 녀석들이 나오는 영화들을 괴수물,

에이리언, 프레데터 등 사람 크기만 한 녀석들이 나오는 영화들을 크리처물로 부르지 않은가?

솔직히 얘네들을 쓰까서 다 괴수물로 부르는 거는 아니잖나.

그렇지??


709AEB9E-2961-4A01-BF08-0C9962D60E1F.jpeg



그럼.

이제 진짜,

괴수물의 정의를 내릴 수 있다.

괴수물에서의 괴수가 '괴상하게 생긴 상상 속의 짐승'인데 열라 '거대한' 괴수인 거다.

후우...

여기까지 오는데 1시간 넘게 쓴 것 같다.(는 훼이크)

이제 글을 마무리할까 한다.



지금 회사에서 몰래 글 싸지른다고!!


10FFF569-58D2-4C7E-8D45-614AEB1C7A43.png


일 해야하는데 그걸 포기하면서 글리젠하는데 시간을 보내고 있다...

...각설하고

이제 최초의 괴수물로 선정할 만한 예비후보 영화들을 소개하겠다.





첫 번째 후보 : <니벨룽의 노래>(1924)

93238084-44CA-46CF-90EE-CEE5D3BCA01F.jpeg

4E987CE5-058F-40FD-A581-C3F88CA22E89.jpeg


1924년에 나온 영화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중세 독일의 서사시인 <니벨룽겐의 노래>를 원작으로 하는 영화로 보인다.

영화를 안 봐서 잘 모르겠지만 영화에 용이 등장한다고 한다.

상상의 동물인 용이 등장하는 것 자체로 이 영화는 최초의 괴수물로 보면 될까?

허나...

앞에서 얘기한 것처럼

괴수물은 괴수가 주인공이어야 한다.

그런데 원작이 되는 <니벨룽겐의 노래>는 그렇지 않다.

위키피디아를 통해 이 영화에 대해 알아보면 괴수물보다는 판타지에 가깝지 않나 싶다.

(물론 제대로 읽어보지 않았다.)


1FCB8BB1-20E6-418E-A265-32A7796A5AAD.jpeg





두 번째 후보 : <잃어버린 세계>(1925)

2997A3A3-6042-4AFB-A7A1-6C08BBADCED3.jpeg


461A707E-2475-420B-B50E-DDA4E87D68C6.jpeg


1925년에 나온 아서 코난 소설 원작의 공룡 등장 영화다.

몇몇 괴수팬과 영화팬들은 최초의 괴수물로 이 영화를 꼽는다.

참고로 이 영화는 다음에 소개할 <킹콩>의 어머니격인 영화이기도 한데,

모험에서 돌아와 포획한 공룡이 도시에서 날뛰는 시퀀스는 <킹콩>의 그것과 판박이나 마찬가지다.

공룡이 도시에 날뛰는 시퀀스는 정말 괴수물로 봐도 손색없을 정도다.

그런데 하필이면 이 영화의 주역이 되는 것이 '공룡'이라는 거다.


49ABCEA0-6452-4A09-A55B-B47FFB45AC6C.png


'공룡'.

실제로 한 시대를 살았던 생명체이기에 공룡은 상상 속의 짐승인 괴수로 보는 것은 부적절하지 않나 싶다.

자 어쨌든, 그럼 다음 후보는 어떤 영화일까?




세 번째 후보 : <킹콩>(1933)

4D9B3E72-C120-482B-8F4B-4D40D67AC5A2.jpeg

CB032301-62F0-497F-8FA4-05FFA6D6D70B.jpeg


괴수물의 대명사, <킹콩>이다.

뭐, 괴수팬들이라면 다들 알겠으니 영화에 대해선 생략하고

등장하는 녀석들만 조명해보겠다.

영화에는 주연인 거대 유인원 '킹콩'과 다양한 공룡들이 등장한다.

두 번쨰 후보에서 말했듯이 괴수는 상상 속의 존재여야 한다.

킹콩은 괴수에 해당하는 존재일까?


6A2F3C6F-7F93-4D0C-B20D-81641819FA3A.jpeg


킹콩은 일반적인 유인원과는 다르게 엄청나게 거대한 존재다.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킹콩의 크기는 15미터 정도라고 한다.

현재 가장 큰 유인원은 고릴라인데 2미터가 넘지 않는다.

지구상에서 가장 컸다는 기간토피테쿠스의 크기도 4미터가 최대이다.

자 그럼, 삼단논법으로 킹콩이 괴수인지 아닌지 알아볼까?

1. 괴수는 상상의 짐승이어야 한다.

2. 킹콩은 15미터 크기의 유인원이다.

3. 실제 10미터가 넘는 유인원은 존재하지 않는다.

4. 킹콩은 실제 존재하지 않았던 유인원이므로 괴수다.

삼단이 사단이 되었지만

내 딴의 논법으로 킹콩은 괴수가 되었다.


49D76C2F-DD02-4F2E-9712-A792BB8D6620.gif.jpg


아 다음은 공룡들.

근데 귀찮아서 짧게 쓰겠다.

공룡들도 실제 존재한 생물이었지만 영화 속의 녀석들은 킹콩처럼 거대하다.

킹콩과 맞짱 뜨던 수각류처럼 현실에서 10미터가 넘는 수각류는 없지 않은가.


99114ABD-73AA-4A12-9460-C019382803BB.jpeg


짤만 봐도 오지게 큰 걸 알 수 있다.

고로 공룡들도 괴수로 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자 이제...

마지막 후보다.

정말 글 쓰는 거, 힘들다...

1139DD7C-9CCA-4AAB-A696-284140A96B40.jpeg





네 번째 후보 : <심해에서 온 괴물>(1953)

8B475EFF-F5C0-42E6-846A-20232F3AAC30.jpeg

4095851B-B833-4176-9352-F7C934C72ABC.jpeg


괴수팬이라면 이 놈은 잘 알 것이다.

핵 맞고 깨어난 괴수, 레도사우루스가 주인공인 영화.

고지라와 가메라 같이 핵의 메타포를 지닌 최초의 괴수 영화일 것이다.

이 영화를 시작으로 핵과 관련된 괴수물들이 여럿 나왔으니까.

여기서 나온 레도사우루스는 공룡이라는 설정이다.

근데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게다가 핵의 영향을 받아서 방사능을 띄는 녀석이다.

현실 동물에서 크기만 키웠던 <킹콩>과 다르게

진짜 '상상 속'의 동물을 그렸다는 게 이 영화의 의의일 것이다.

그래서 몇몇 팬은 이 영화를 최초의 괴수물로 보고 있기도 하다.




아...

다 소개했다.

열라게 뿌듯하다.


EF53A089-9D47-4078-9040-2A9B8EABF56E.jpeg



Aㅏ...

드뎌 끝났다.

하얗게 불태웠다...

92F33DA6-D1F4-477D-A60E-672E137DD0D6.jpeg




이전 다음 위로 아래로 스크랩 (1)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첨부
  • profile
    스턴트맨마이크 2022.08.17 11:21
    ㅋㅋㅋㅋㅋㅋㅋ 재밌는글 잘 봤습니다. '괴수' 와 '크리쳐' 의 정의를 구분해서 알게되었네요.
  • @스턴트맨마이크님에게 보내는 답글
    무코몬MUKOMONSTER 2022.08.17 11:26
    감사합니다ㅋㅋㅋ 괴수와 크리처는 엄연히 구별되고 있지요~
  • 마틴스콜세지 2022.08.17 11:22

    아 ㅋㅋㅋㅋ 너무 재밌게 읽었습니다!! ㅋㅋㅋ 나중에 한 번 더 읽어봐야겠에요

  • @마틴스콜세지님에게 보내는 답글
    무코몬MUKOMONSTER 2022.08.17 11:26
    감사합니다ㅎㅎ 뿌듯하네요~
  • profile
    스턴트맨마이크 2022.08.17 11:23
    <드래곤 하트> 나 <호빗2> 처럼 판타지에 나오는 '드래곤' 도 괴수로 봐야 맞죠?
  • @스턴트맨마이크님에게 보내는 답글
    무코몬MUKOMONSTER 2022.08.17 11:27
    드래곤도 상상의 동물이고 또 대게 몸집이 거대하니 괴수가 맞지요!
  • profile
    엘로이즈 2022.08.17 11:26
    재밌게 잘 봤습니다 ㅋㅋ
  • @엘로이즈님에게 보내는 답글
    무코몬MUKOMONSTER 2022.08.17 11:28
    감사합니다!ㅎㅎㅎ
  • profile
    멍멍이 2022.08.17 11:47
    짤 많은 거 좋아요🥰🥰 재밌게 읽었습니다!!
  • profile
    HardDeck 2022.08.17 12:17
    흥미진진하게 읽고 있는 나를 발견… ㅋ
  • profile
    인생유전 2022.08.17 12:26
    ㅎㅎㅎㅎㅎ 재밌게 잘 읽었습니다!! 진짜 쓰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__) 짤 선정에서부터 성의가 팍팍 느껴지지 말입니다.

List of Articles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파트너 계정 신청방법 및 가이드 file admin 2022.12.22 371614 94
공지 굿즈 소진 현황판 정리글 [157] 무비이즈프리 2022.08.15 1013754 175
공지 [CGV,MEGABOX,LOTTE CINEMA 정리] [38] file Bob 2022.09.18 377063 133
공지 💥💥무코 꿀기능 총정리💥💥 [103] file admin 2022.08.18 708308 202
공지 무코 활동을 하면서 알아두면 좋은 용어들 & 팁들 [63] admin 2022.08.17 457097 147
공지 게시판 최종 안내 v 1.5 [63] admin 2022.08.16 1089889 140
공지 (필독) 무코 통합 이용규칙 v 1.9 admin 2022.08.15 343750 169
더보기
칼럼 <3000년의 기다림> 여성이 정말로 갈망하는 것 [11] file 카시모프 2023.02.07 1121 24
칼럼 [Tech In Cinema] 마이클 만이 디지털로 그린 LA의 서늘한 풍경, <콜래트럴> [6] file Supbro 2023.05.09 3653 34
현황판 인사이드 아웃2 굿즈 소진 현황판 [12] updatefile 너의영화는 2024.05.22 6464 19
현황판 하이큐!! 쓰레기장의 결전 굿즈 소진 현황판 [92] update 2024.05.13 41059 33
불판 6월 14일(금) 선착순 이벤트 불판 [2] new 아맞다 12:25 3234 18
불판 6월 13일(목) 선착순 이벤트 불판 [20] update 내꼬답 2024.06.12 8197 33
이벤트 🎉블라인드 시사회에 무코 회원님들을 초대합니다!🎉 [62] updatefile songforyou 파트너 2024.06.05 9038 55
후기/리뷰 토요일에 서울아트시네마에서 유레카를 보았습니다 (스포 O) file
image
2022.08.15 317 3
후기/리뷰 프리미어 상영으로 사랑할 땐 누구나 최악이 된다를 선관람 했습니다 (약스포 0) [10] file
image
2022.08.15 408 7
후기/리뷰 <스타 이즈 본> 짧은 후기 [10] file
image
2022.08.15 328 3
후기/리뷰 썸머 필름을 타고! 3회차 후기 (약스포 O) [14] file
image
2022.08.15 330 5
후기/리뷰 헌트 보고 왔습니다!! [5]
2022.08.15 261 3
후기/리뷰 러빙빈센트 후기 [14] file
image
2022.08.15 320 6
후기/리뷰 <프레이> 후기 [6]
2022.08.15 223 4
후기/리뷰 (스포 O) 놉 개봉 전 간단한 리뷰와 시네마톡 리뷰 file
image
2022.08.15 561 3
<큐어> 리뷰(스포 주의) 프로이트 이론적 관점 해석 [14]
2022.08.16 1007 15
후기/리뷰 헌트 2회차 후기 (스포 有) [10]
2022.08.16 240 6
(스포) 영화<조커> 리뷰 [6]
2022.08.16 375 12
쏘핫 불릿 트레인 시사 후기 [50]
2022.08.16 1347 36
후기/리뷰 ‘시바 베이비’ 간단 후기 (약스포) [3] file
image
2022.08.16 417 2
<그래비티> 짧은 후기 [11] file
image
2022.08.16 374 12
후기/리뷰 . [6]
2022.08.16 508 7
후기/리뷰 (스포) 헌트 N차 관람 후기 [12] file
image
2022.08.16 292 6
후기/리뷰 블랙폰 시사회 후기 [9]
2022.08.16 384 5
<헌트> 노스포 리뷰입니다! [8] file
image
profile Bob
2022.08.16 315 16
후기/리뷰 오늘 본 영화 <라이트 아웃> [3] file
image
2022.08.16 247 3
후기/리뷰 <육사오> 간단 후기 (노스포) - 여름 시즌 의외의 복병 [11]
2022.08.16 478 8
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
/ 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