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ko.kr/12626771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요즘 이런 생각이 가득합니다.

"한국 극장영화계는 멸망할 것인가?"

 

세계극장영화계가 멸망하지는 않을 겁니다. 

하지만, 한국 극장영화계는...저는 멸망하고 시대의 흐름에 따라 도태될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예상합니다.

물론, 극장영화계가 망한다고, 영화계가 망한다는 게 아닙니다.

흑백영화 시절 무성영화가 유성영화로 바뀌고

컬러티비의 보급으로 시네마스코프가 생겼듯.

그렇게 계속되었던 변화 중 이제 OTT의 발전 + 영상 기술의 소형 보급화로 인해

더 이상 극장에서 영화를 본다는 게 시장성이 없다는 점에 도달했습니다.

물론, 세계적으로는 추세가 다를 수 있습니다. 왜냐면 OTT의 보급률이 다르고

빈곤하고 GDP 및 개인소득이 낮은 나라일 수록 오히려 극장 가격이 더 쌀 수 있으니까요.

 

저는 한국영화계만 단정하고 이렇게 진단합니다.

 

이유는 아래와 같이 열거 해봅니다.

 

 

1. 기술적 임계점.

지금까지 극장이 일반 개인의 TV와 다르게 상업성을 가지는 이유는 큰 스크린에서 오는 시각,

큰 우퍼에서 오는 청각적 체험입니다. 과거부터 그랬고, 바뀌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시대가 바뀌었습니다.

중산층 기준으로 당장 보는 TV 만 80인치고, 일반적으로 쓰는 모니터들도 27,32인치입니다.

아이맥스 처럼 스케일 큰 블록버스터의 엄청나게 큰 스크린에서 오는 전율까지는 아니더라도,

일반적인 수준? 아니 큰 블록버스터의 영화를 즐기기에도 무리가 없을만큼

기술이 보급, 보편화 되었습니다.

극장용 상영과 다른 점은 이제 원본 컬러의 12비트 상영환경인가 8 혹은 10비트 상영인가 차이인데,

이제 10비트 모니터가 8bit+FRC 식으로 보급된 기점이니 기술적으로도 곧 따라잡을 예정 같습니다.

(12비트 이상 넘어가면 상영상으로는 인간의 눈으로 구분할 수 있는 경지를 넘습니다. 기술적으로 색정보를 더 많이 가지고 있어서 후반을 크게 만질 수 있냐의 범위입니다)

 

그러면 극장이 개인화 상영환경을 넘는 무언가를 제공해야 하지 않습니까?

 4D?  그것도 솔직히 좋아하는 관객들이 있는지 몰라도 호불호입니다.

당장 3D영상도 멀미나서 못 보는 사람들 많습니다.

사실 상 이제 불가능해요.

 

 

2. 임계점에 따른 극장용 영화의 차별점이 없다.

근래에 흥행한 영화라면, 범죄도시4, 파묘, 베테랑2, 파일럿 정도 들 수 있겠습니다.

물론 만든 사람들한테는 미안하지만,

극장의 체험적인 면에서 봤을 때 위의 영화들이

과연 넷플릭스 영화들과 소재, 텔링, 구현 등 모든 면에서  차별점이 있었습니까?

특히 범죄도시와 베테랑의 경우 액션 영화인데 그 규모가 

거대 자본의 OTT 작품들을 뛰어넘을 만큼 시각적인 요소가 있었나요? 사업적인 차별이 있었나요?

솔직히 프렌차이즈 원 툴 흥행작 아닙니까?

규모 표현으로 따지면, 물론 장르가 다른 점도 있지만

전,란 같은 넷플릭스 영화가 시각적으로 볼 거리가 더 많다는 게 역설적입니다.

반대로, 범도, 파묘, 베테랑, 파일럿 등이

넷플릭스로 만들어졌다면 흥행 안 했을까요? 제작사가 번 돈을 적어졌을지 몰라도

저는 흥행 했을 거라고 봅니다. 월드와일드로 흥행 했을 수도 있죠.

 

이게 사업성으로 봤을 때 매우 중요한데,

관객이 왜 그 돈들여서 가야합니까? 굿즈? 그거 매니아들이 좋아하는 거지

대중성있는 사업 아이템들이 아닙니다.

 

설상 가상으로 기획도 그래요. 극장용 영화라고 만들어지는 영화들의 기획들도

"이게 꼭 극장에서 봐야만 느낄 수 있는 체험이 있는 기획인가" 라고 냉정하게 비지니스적 관점으로 분석하면

태반, 아니 거의 다 그렇지 않습니다.

사실 상, 배우의 네임벨류, 감독의 네임벨류에 사업성을 올인한 기획이지요.

오히려 창의성에서 아무런 제약을 걸지 않는  OTT쪽이 더 좋습니다.

이제 24면 말, 25년에 개봉을 앞둔 작품 중에서

우리가 정말 냉정하게 말해보자구요.

이걸 꼭 당장 극장에서 봐야만 하는 이유가 있다 하는 작품이 과연 몇이나 있습니까?

 

 

3. 인프라 멸망

 

2020년 들어서 극장용상업영화 중에 신인감독 데뷔한 사람 중

20대는 커녕 30대가 몇 명이나 있었죠? 그 몇 없는 사람 중 손기 넘긴 사람이 몇이나 있었죠?

언급하기도 어려울 겁니다.

예. 인프라가 쪽 빨렸어요. 

모든 창의적인 시도는 젊은 창작자들에게서 나옵니다.

그런데 극장 영화 시장 자체가 이제 젊은 창작자들이 나올 수가 없게 되었습니다.

오히려 젊은 창작자들은 극장이 아닌 다른 매체로 다 옮겼어요.

누가 그렇게 만들었나요? 한국 영화계가 그렇게 만들었습니다.

독과점이. 배급구자가. 투자구조가. 엔터산업이

자기들의 욕심에 그렇게 만들었습니다.

당장 어떤 작품은 신인감독 껄 뺏어서 찍다가 폭로되서 엎어진 영화도 있었죠.

그런 시장이 더 이상 필요가 있습니까?

 

솔직히 영리한 제작사들은 당장 남기는 돈이 적더라도

이미  OTT로 발 뻗어서 자리 한 켠씩 다 자리 잡았습니다.

지금 남아있는 한국극장영화계의 메이커들은 일류 아니면 삼류 밖에 없습니다.

 

 

 

이렇게 이야기 하면 참 서글픈 얘기죠. 

근데, 극장의 멸망이 영화의 멸망이 아닙니다.

 

단적인 예로 저는 게임 산업을 들고 싶군요.

(게임과 영화와의 차이는 사용자가 관람을 하느냐 인터렉티브를 하느냐의 차이죠. 그만큼 산업적으로 유사합니다)

 

요즘 게임을 오락실 가서 하시는 분 없을 겁니다.

가서 해봤자 오락실에서 가서 해야만 하는 장르인 리듬게임, 건슈팅 게임, 레이싱 게임 등 

체험형 게임이 전부일 거에요. 아니면 철권 처럼 격투게임이던지요 (철권도 구색맞춤이고 요즘은 플스나 스팀으로 하죠)

 

과거엔 정말 그런 관념이 강했습니다.

게임은 반드시 오락실에서 해야 했고, 거기서만 느낄 수 있는 고유의 체험들이 있었죠.

이게 기술의 흐름에 따라, 보급에 따라

피씨방으로 바뀌었고,

이제는 피씨방 시장도 축소되서

개인화로 바뀌었습니다.

개인이 PC,  콘솔, 모바일 3중에 하나도 없는 경우는 드물거든요.

이제 두 번다시는 오락실에서 느꼈던 그 정서, 고유의 그 두근거림과 긴장감을 느낄 수가 없죠.

그렇다고 게임이 멸망 했나요? 아닙니다.

오히려 몇 배로 커졌으면 커졌지, 멸망하지 않았습니다.

게임은 인기 장르가 계속 바뀌어가면서 결국엔 바뀌었습니다.

(그렇다고 게임시장에서 부조리함이 없다는 건 아닙니다)

 

물론, 짱오락실 같은 인형뽑기 프랜차이즈로 명맥정돈 잇고 있을 뿐입니다.

 

 

이것은 음악도 마찬가지고요. 이제는 스트리밍으로 듣지만 LP가 매니아들한테 명맥을 잇고 있죠.

음악계가  mp3 소리바다 땜에 망한다고 엄살 부리던 시절이 불과 20년전입니다.

이제는 시장이 확장되서 모든 콘텐츠 분야에서 가장 돈 잘버는 분야가 되었죠.

도태될 건 도태되더라도 변화는 변합니다.

 

 

이제 영화 차례입니다.

저는 솔직히 요즘 이런 생각 마저 듭니다.

 

"1시간 20분짜리 단막 드라마와, 90분짜리 저예산 영화와의 차이가 뭔가?"

 

어차피 같은 온라인 스트리밍으로 방영되고 관객을 만난다면

과연 작법적으로나 촬영적으로나 이제는 차이가 없는데

그걸 무엇으로 정의해서 구분할 거지?

이런 생각마저 듭니다.

예 이제 그런 시대에요.

극장은 앞으로 오락실이 될 겁니다.

해외에서 월드와이드로 나오는 디즈니 같은 거대 자본의, 거대 규모의 영화들만 살아남을 겁니다.

상당 수는 이제 폐점할 거고, 아주 몇몇 곳만 남아서

갈 사람들은 가는 일종의 공연장이 될 겁니다.

당장 극장에 걸린 것들만 보더라도 미디어 공연이 걸리고 있어요. 임영웅이나  BTS  정국이나....

 

이런 시대의 흐름을 거스르는 것도 웃긴 것이고

우리 모두 극장을 지키는 독립군(?)이 될 필요는 없어요. 무슨 대단한 긍지도 아니고요.

 

정의의 문제도 아닌데

그냥 어느 대사처럼

역사적으로 흘러가 듯 가는 게 이제는 답이라고 생각합니다.

 

 

 

 

Ps: 그렇다고 넷플릭스가 답이고 진리다? 아니죠. 걔들도 문제 많아요.

창작자 제작자들에 대한 수익분배는 아주 불공정하죠. 예전에는 10%라도 줬지

요즘은 3~4%준다는 소리도 있습니다. 그 수익율로 무슨 창작욕구가 나오나요?

사실 상 투자자가 수익의 90%를 가져간다는 건데

그건 법률적으로도 위반의 소지가 있고 불공정한 거에요.

이건 정부가 개입하는 게 맞습니다. 게임계 독점인 벨브도 그렇게는 안하고요

애플도 그정도는 아닙니다. 유튜브도 마찬가지고요.

 


profile 주윤발

이전 다음 위로 아래로 스크랩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한국에서는 댓글없다고 댓글달기를 중단합니까? "

List of Articles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파트너 계정 신청방법 및 가이드 file admin 2022.12.22 687924 96
공지 [CGV,MEGABOX,LOTTE CINEMA 정리] [52] file Bob 2022.09.18 803958 148
공지 💥💥무코 꿀기능 총정리💥💥 [108] file admin 2022.08.18 1136267 204
공지 무코 활동을 하면서 알아두면 좋은 용어들 & 팁들 [70] admin 2022.08.17 839553 151
공지 게시판 최종 안내 v 1.5 [66] admin 2022.08.16 1517734 143
공지 (필독) 무코 통합 이용규칙 v 1.9 admin 2022.08.15 599020 173
더보기
칼럼 <보통의 가족> 양심의 기운 빠진 외침 [5] file 카시모프 2024.10.17 33961 14
칼럼 <레드 룸스> T가 공감하는 방법 [28] file 카시모프 2024.10.10 152176 26
불판 10월 21일(월) 선착순 이벤트 불판 [13] update 아맞다 2024.10.18 35600 31
불판 10월 18일 금요일 선착순 이벤트 불판 [124] 은은 2024.10.17 59214 55
이벤트 U+tv 모아 10일이상 출석하면 커피가?! file 엘지유플러스 파트너 2024.10.02 133896 13
영화잡담 3주차에도 계속되는 <조커2> 폭락 행진 [5] new
02:40 331 1
영화잡담 블룸하우스, 데드 바이 데이라이트 영화화 작업 중 [1] new
02:28 116 1
후기/리뷰 (약스포) 트위스터스 4DX 후기 - 예전 관람 new
02:18 61 0
영화잡담 구룡성채... 낭만이 있네요. new
01:13 203 0
영화잡담 스마일2 보기전에 스마일1을 귀찮아서 볼까말까하다가 봤는데 재밌네요 [2] new
01:04 212 0
영화잡담 한국 극장영화의 멸망에 베팅할 것인가. new
00:37 599 4
10월 20일 박스오피스 [4] newfile
image
00:01 836 10
후기/리뷰 [여름이 끝날 무렵의 라트라비아타]를 보고(약스포) newfile
image
23:54 160 0
후기/리뷰 할머니가 죽기전 백만장다 되는법(안봤으면 어쩔뻔 했을까? 스포) [5] new
23:33 295 2
후기/리뷰 '블루 자이언트' 남돌비 보다가 눈물흘렸습니다 [5] newfile
image
23:17 592 4
영화잡담 이동진 평론가'보통의 가족'한줄평 newfile
image
23:13 922 6
영화관잡담 센텀은 언제쯤 정보가 나올지 모르겠네요. [4] new
KG
22:34 471 4
영화잡담 김대명 데이즈드(DAZED) 화보 newfile
image
22:31 315 2
영화잡담 노상현 마리끌레르(Marie Claire) 화보 [2] newfile
image
22:26 352 5
영화관잡담 메가박스 바삭팝콘 후기 [9] newfile
image
22:10 1014 9
영화잡담 야구 중계예몌도 엄청나네요 ㅋ [4] newfile
image
21:44 723 2
아이브 무인 1열에서 보고왔습니다(+동영상 추가) [13] newfile
image
21:42 1102 12
후기/리뷰 어머님의 더러운 돈에 손대지 마라 간단 평 new
21:39 586 9
영화관잡담 CGV에서 뿌린 <베테랑2> 무료 쿠폰이요 [10] new
21:24 1476 3
영화잡담 (착각했습니다😑) 울아맥 리뉴얼로 재개봉한 노 웨이 홈이 펀 버전이었군요 [2] new
21:21 477 2
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
/ 4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