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ko.kr/965455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첨부


17ccb72b3edae7e824688f5d4e0043f2.jpg

 

소경, 봉사, 맹인, 장님. 다양한 이름으로 부르지만 이는 다 시각장애인을 뜻하는 말이다. 사람의 감각 중에서 시각이 차지하는 비율이 굉장히 크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은 무언가 특별하다. 영화 <올빼미>는 낮에는 볼 수 없고 밤에는 볼 수 있는 주맹증을 가진 시각장애인을 모티브로 했다. 이 영화는 내내 눈에 집착한다. 눈알 그 자체에 대한 묘사와 집착부터, 시야에 대한 이야기까지. 단순히 주맹증이 소재라서가 아니라, '눈'이 가진 다양한 의미를 담으려 한다.

 

 

 

BF.31775227.1.jpg


사람이 아닌 사람
사극의 CCTV라고도 불리는 돌쇠의 "제 두 눈으로 똑똑히 보았습니다요"와는 다르게, 조선시대 양민 천민들은 자기보다 윗전의 행실을 보고도 못 본 척해야 했다. 양반을 섣부르게 음해했다가는 목숨을 부지하기가 힘들었기 때문이다. 천한 것들은 보아도 보지 말아야 했고, 그러기에 그들은 양반들에게 사람이 아닌 존재였다. 

 

<올빼미>에서도 천경수(류준열)는 분명 시각장애인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그를 마치 청각장애인이나, 지적장애인과 같이 취급한다. 분명 소리가 들리는 상황임에도 "쟨 소경이야"라며 무시한다. 천경수도 필요할 때는 일부러 자신의 지적능력이 좀 떨어지는 척 연기를 한다. 천경수가 있는 상황에서 보이지 않는 것일 뿐 다 듣고 있는데도 아무렇지 않게 비밀을 주고받는다. 그건 단순히 아래 것이라서가 아니라, 아래 것이자 장애인이기 때문이다. 

 

사람이 아닌 사람, 현대에서도 장애인은 그런 존재다. 신체장애가 있는 사람을 지적장애가 있는 것으로 쉽게 오해한다. 굳이 장애판정까지 받지 않더라도, 생김새가 조금 다르다던가 말투가 조금 어눌하다던가 시선을 제대로 마주치지 못하기만 해도 그런 취급을 받는다. 학급에서 사회에서 그런 사람은 쉽게 왕따를 당하고 고통받는다. 

 

얼핏, 천경수가 밤에는 볼 수 있다는 사실을 왜 살면서 숨겼을까 의문이 든다. 평소에도 밤에 볼 수 있다는 걸 마을 사람들에게 알렸으면 덜 무시당하지 않았을까? 하지만 낮에 볼 수 없다는 건 비장애인에겐 굉장한 리스크가 된다. 천경수는 경계선에 선 사람이다. 이쪽도 저쪽도 아닌 경계선에 있는 사람은, 양쪽에서 차별받는다. 

 

확실하고 큰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고통이야 사실 말할 것도 없지만, 애매한 장애를 가진 경계선에 선 사람도 말 못 할 고통이 크다. 경증 틱장애나 언어장애가 있어 장애판정도 받지 못해 특수학교에 가지도 못하는 사람이, 일반학교로 가게 되면 아이들에게 왕따 당하고 학폭에 노출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한쪽에서는 장애인이라며 놀리고, 다른 쪽에서는 비장애인이라며 거부한다. "사람들은 소경이 보는 것을 좋아하지 않습니다"라는 천경수의 말은 그런 뜻이 담겨있다.

 

천경수는 거기에서 장애인을 택했다. 완전한 시각장애인으로 살면 오히려 뛰어난 능력을 가진 것으로 대우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경계선이라는 정체성 때문에 사건에 휘말리게 되고, 그 사건을 경계선이라는 능력으로 해결하려 고군분투하게 된다.

 

 

 

화면 캡처 2022-12-07 185005.jpg


못보다, 보이다, 바라보다
병자호란 때 삼전도의 굴욕 후, 소현세자(김성철)는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갔다가 8년 만에 돌아온다. 이 둘의 세계를 바라보는 시선은 이미 달라져있다. 인질로 잡혀가 눈치를 보며 살아야 했지만, 청나라와 다양한 서양 문물을 접한 소현세자. 그는 지구의를 들고 와 인조에게 더 넓게 보자고 한다. 실제로 소현세자가 천주교를 들여왔다는 설도 있다. 소현세자는 자신에게 보이는 것들을 적극적으로 바라보는 사람이다.

 

그러나 인조(유해진)는 삼전도에서 청나라 황제에게 이마가 깨질 때까지 세 번 절을 한 후, 그 굴욕과 공포가 온몸에 새겨진 듯하다. 인조 자신도 광해군을 반정(쿠데타)으로 폐하고 왕이 된 인물이기 때문에, 언제 누군가 자신을 죽이러 올까 두려워한다. 그는 두려움에 시야가 닫혀있다. 

 

천경수의 상관인 내의원의 만식(박명훈)은 큰 눈을 가지고 있지만 사실은 눈치도 없고 길눈도 밝지 않다. 사람 하나는 좋지만 그처럼 보이는 것도 못 보는 사람은 주변에 실없는 사람으로 타박받기 마련이다. 보고도 못 본 척하는 것이 살아남는 방식이지, 보이는 데도 못 보는 사람은 출세하기 어렵다.

 

천경수는 보이지만 보이지 않는다. 그는 반은 감고 있고 반은 뜨고 있다. 보이는 것을 못 본 척하는 데 익숙하다. 그러기에 가늘고 길게 살아남았다. 보이는 것을 다 말하지 않고, 자신을 속여도 그려려니 하고 넘어간다. 사실 시각장애인도 눈동자가 안 움직이진 않는다. 다만 시선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을 뿐이지. 천경수는 어둠이 드리우면 눈동자를 굴려 사물을 똑바로 바라본다. 그것들과 마주친다. 하지만 경수에게도 사물과 사람은 그저 흐릿하게 잠시 보일 뿐이다. 시각장애인으로서 잠시 벗어나 능력을 발휘할 때, 편지를 쓸 때 정도로만 쓰며 살아왔다. 그 밖의 것들은 여전히 보고도 못 본 척한다. 

 

실제로 눈에 보이는 것을 말하는 게 아니라, 세상을 바라보는 시야도 그렇다. 경수는 궁에서 긴박하게 돌아가는 일을 알고도 모른 척해야 하는 처지다. 경수에게는 자신과 병든 동생만이 중요하다.

 

 

 

 

[이하 스포일러]

 

 

 

 

68be803a-188d-4802-bafb-323267a2db35.jpg


소현세자는 보이는 것을 똑바로 바라보는 사람이다. 경수는 돌아온 소현세자의 기침을 치료하다, 그렇게 모든 것을 똑바로 보려 하시니 아픈 것이라 말한다. 그러나 소현세자는 보이는 것에 눈을 감지 않았다. 오히려 반은 소경으로 살고 있는 경수에게, 청에서 가져온 확대경을 준다. 세상을 더욱 똑바르게 바라보라고. 확대경을 받아 든 경수는 바라보는 사람이 된다. 거기엔 자신을 이해해 준 소현세자와 원손에 대한 연민이 있다.

 

그는 결국 바라보기를 택한다. 모든 것을 외면한 채 집으로 가 동생과 함께 할 수 있었음에도, 그 순간 날이 밝아오며 다시 소경이 되었음에도, 소현세자와 원손에 대한 연민으로 그는 본 것을 못 보았다고 말하지 않는다. 소경이 된 모습으로, 죽음을 무릅쓰고 모든 사람들 앞에서 애처롭게 말한다.

 

"나는 분명히 보았습니다"

 

 

 

올빼미_반전 스틸02.jpg


몸으로 드러나다
<올빼미>에서는 독특하게 그들의 병은 각각의 캐릭터 성격과 일치한다. 영화 초반, 경수는 침의를 구하러 온 이형익(최무성)이 테스트를 할 때, 소리만 듣고 단번에 풍을 알아맞힌다. 풍에 대한 설명으로 '급한 성격이 풍을 불러온 듯하옵니다'라는 말도 덧붙인다. 한의학에서는 그 사람의 성격과 성향이 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고 설명한다. 

 

경수의 동생 경재(김도원)는 천식이다. 숨조차 제대로 못 쉬는 일반 서민의 삶을 대변한다. 경수의 주맹증은 보고도 못 본 척, 조금은 세상을 알면서도 무지한 사람인척 살아가는 조금 능력을 가진 서민들을 대변한다. 내의원 만식은 눈을 뜨고 잠드는 '토안증'을 갖고 있다. 이는 그가 그렇게 큰 눈을 가지고도 눈치가 없고 보지 못하는 사람이라는 것을 표현한다. 원손은 야뇨증을 가지고 있다. 부모가 없이 커서, 몸보다 마음이 덜 큰 사람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소현세자는 폐병으로 기침을 한다. 한의학에서 기침은, 몸에 울화가 쌓여있을 때 등이 긴장되어 나타난다고 한다. 소현세자는 모든 것을 바라보고 마음속의 것을 말해야 하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인조의 풍, 구안와사는 그가 이중인격, 악마적 성격을 내포하고 있다는 걸 나타낸다. 특히 인조의 왼쪽은 악을 의미하는데, 구안와사는 인조의 왼쪽 얼굴을 마비시켜 자꾸 왼쪽 눈을 잡고 가리게 된다. 마치 악마가 꿈틀거리며 태어나려는 것을 가리려는 것처럼. 그가 소현세자를 죽인 범인이라는 악이 드러나게 되자, 그의 왼쪽은 활개를 친다. 문틈으로 밖을 엿보며 조용히 하라는 희번뜩한 인조의 눈은 왼쪽 눈이다. 또한 그가 글씨체를 달리해서 소현세자를 죽이라 명하는 글을 쓰는 손은 왼손이다. 결국 마지막에 인조가 칼을 들고 설치며 그의 악행이 만천하에 드러날 때, 그는 넘어져 이마가 깨지며 왼쪽 얼굴과 눈을 피로 물들인다. 

 

<올빼미>는 많은 지점에서 영화 <관상>과 비교할 수 있다. <관상>역시 얼굴로 드러난 그 사람의 성격으로 이야기를 끌어간다. <올빼미>는 병으로 드러난 인물들의 성격을 보여준다. 또 <관상>은 보이는 대로 말하며 출세가도를 달리다 결국 보이는 대로 말하지 못하게 되는 과정을 그린다. <올빼미>는 보이는 대로 말하지 않고 살다가, 보이는 대로 말하게 되는 이야기를 그린다.

 

세상을 바라보고자 했던 반은 소경인 경수. 악으로 눈을 막고 보이는 것만 보며 살았던 인조. 결국 인조는 소현세자 일가를 모두 죽이고 원하는 대로 살았지만, 그의 눈에는 그를 경멸하던 궁의 신하들 눈빛이 계속해서 아른거린다. 인조는 말년에 점점 정신까지 피폐해져, 계속해서 '저 눈깔 좀 봐라'라며 자신을 보는 눈을 두려워한다. 그런 인조에게 침을 놓으러 간 경수는 인조에게, 아니 관객에게 묻는다. 당신은 세상을 어떻게 보고사는 것인지.

 

"무엇이 보이십니까?" 

 


 

이 영화에서는 보이는 것에 집중하지만, 소리 역시 굉장히 큰 역할을 한다. 침을 맞은 사람의 침이 가늘게 떨려오면서 마치 방울뱀이 꼬리를 흔들 듯 소리가 들려오는데, 상황과 사람에 대한 긴장감과 위험이 다가오고 있다는 느낌을 소름 끼치게 전해준다. 음악으로써 과한 개입은 배제하고, 극 중 감정에 몰입할 수 있도록 훌륭한 사운드를 들려준다. 더군다나 음악과 대사가 많이 겹치지 않도록 많들어, 대사도 여타 한국 영화에 비해 잘 들리는 편이다. 눈에 띄게 좋은 멜로디나 주제가보다는, 음악과 소리 자체가 영화에 녹아들도록 잘 설계했다. 미장센, 소리, 시나리오, 연기 모든 밸런스가 좋다.

 

미로 같은 궁, 조선의 소품들을 이용한 트릭과 흔적 긴장감 등은 이전에 볼 수 없었던 '사극 스릴러'장르로써 굉장히 높은 완성도를 보여준다. 안태진 감독은 <왕의 남자> 조감독 출신으로 17년 만에 자신의 영화를 만들었다. 어떤 우여곡절 끝에 이렇게 영화를 만들게 되었는지 모르지만, 그가 앞으로도 보여줄 이야기가 벌써부터 궁금해진다.

 

 

 

출처: 본인 브런치

https://brunch.co.kr/@casimov/143

 

#카시모프영화리뷰

 


profile 카시모프

별들 사이를 여행하는 방랑자.

 

이전 다음 위로 아래로 스크랩 (1)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첨부
  • profile
    캡틴스노우볼 2022.12.07 21:01
    이 글을 무코님 리뷰중에 가장 재밌게 읽었습니다. 영화를 2번이나 봤는데도 전 개개인이 지니고 있던 병과 인물간의 특징, 의미들을 눈치채지 못했네요. 만석의 큰 눈을 굉장히 인상깊게 보았지만 무코님의 깊이있는 해석을 보며 또 깨달음을 얻어갑니다. 이 리뷰를 보고 또 다시 올빼미를 봐도 재밌을것 같아요. 추천하고 갑니다. 또 좋은 글 많이 써주세요. 응원합니다!
  • @캡틴스노우볼님에게 보내는 답글
    profile
    카시모프 2022.12.07 21:05
    감사합니다 ㅎㅎ 저도 보고 생각난 건 많았는데, 긴 리뷰는 아니지만 정리하느라 시간이 조금 걸렸어요. 쓰면서두 좀 고민했는데 잘 읽어주셔서 넘 감사합니다 ㅎㅎ
    다음에도 힘내서 리뷰 쓸게요~
  • profile
    영미남 2022.12.07 23:13
    좋은 비평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인조의 왼쪽에 대한 무코님의 시선 인상적입니다!
    특히 미처 제가 놓쳤던 왼쪽 눈과 관련된 해석 좋습니다!
  • @영미남님에게 보내는 답글
    profile
    카시모프 2022.12.07 23:33
    재미있게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 profile
    체피리그렌스 2022.12.09 08:37
    글 발견 당시는 바빠서 찜해놓았다가 지금 읽기를 마쳤습니다. 무코님글은 버릴 부분이 없어 맘잡고 정독해야 하거든요.ㅎㅎ

    이 글 또한, 한의학 전공이신가 싶을 정도로 병과 그 인물의 성격을 연결시킨 것이 인상적이었습니다. 특히 인조의 왼쪽 얼굴과 왼쪽 눈, 왼손까지 그 의미를 꿰뚫은 것에 놀라면서 읽었습니다👍

    봐도 못본 척 살아가려는 천경수와 똑바로 보며 살아가려는 소현세자. 당연히 소현세자의 태도가 멋지다는 것을 알지만 현실에서는 천경수의 삶을 살고 있어서 나같은 사람들이 눈감고 살아서 소현세자 같은 이들이 그 뜻을 다 펼치지 못한 것은 아닌지.. 그래서 역사에서도 영화에서도 소현세자의 죽음이 더 안타깝게 느껴졌습니다.

    항상 깊이있는 분석과 예상을 뛰어넘는 감상으로 좋은 글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영화도 기대할게요^^
  • @체피리그렌스님에게 보내는 답글
    profile
    카시모프 2022.12.09 09:12
    한의학 전공은 아닌데다 유사과학을 싫어하는데, 한의학 드라마를 좋아합니다. 허준, 대장금, 마의 등은 몇번씩이나 봤어요 ㅎㅎ 아마 그래서 그런가봅니다.

    소현세자의 죽음도, <탄생>에서 김대건의 죽음도.. 시대를 열려고 하는 사람들의 이른 죽음이 더욱 안타깝게 느껴지는 영화죠. 비록 정사는 아닌 팩션으로 만든영화지만, 사극의 선을 잘 지키면서 상상력을 마음껏 풀어내어 더욱 좋은 영화였습니다.

    항상 잘 꼼꼼히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칼럼 연재를 원하시면 <문의게시판>을 통해 문의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글쓴이 날짜
무코 x 무비오어데스 영화관 향수 20,000원 [22] file
image
무비오어데스 파트너 2024.03.06 39687
아가씨, 올드보이 티셔츠 (레디 포 썸머) [5] file
image
무비오어데스 파트너 2024.04.02 28675
파트너 계정 신청방법 및 가이드 updatefile admin 2022.12.22 350731
굿즈 소진 현황판 정리글 [156] 무비이즈프리 2022.08.15 970767
[CGV,MEGABOX,LOTTE CINEMA 정리] [37] file Bob 2022.09.18 353251
💥💥무코 꿀기능 총정리💥💥 [103] file admin 2022.08.18 683830
무코 활동을 하면서 알아두면 좋은 용어들 & 팁들 [62] admin 2022.08.17 434058
게시판 최종 안내 v 1.5 [63] admin 2022.08.16 1066045
(필독) 무코 통합 이용규칙 v 1.8.5 admin 2022.08.15 324368
더보기
5월 21일 선착순 이벤트 불판 [1] update 아맞다 2024.05.18 2404
5월 20일 선착순 이벤트 불판 [7] update 아맞다 2024.05.17 4276
<혹성탈출: 새로운 시대> 강을 건너간 목소리+힘의 선택-2 (독수리 그리고 창 / 스포) [4] file
image
2024.05.11 2231
<혹성탈출: 새로운 시대> 美 대선을 앞두고 정치를 담다-1 (이름 어원 / 스포 / 제목수정) [32] file
image
2024.05.09 4222
[키메라] 이탈리아의 정치역사 풍자극-2 (엑소더스/<파묘>와 상징 비교/스포) [2] file
image
2024.05.05 1714
[키메라] 이탈리아의 정치역사 풍자극-1 (태양의 나라/<파묘>와 상징 비교/스포) [15] file
image
2024.05.02 3301
[파묘] 어쩌면 진짜 하고픈 이야기? (은어와 참회, 아이들과 <땅에 쓰는 시>/스포) [4] file
image
2024.04.22 3800
[파묘] 영화 속 음양오행 해석-2 (동티와 역사의 파동, 불과 쇠의 <엘리멘탈>/스포) [2] file
image
2024.04.19 3327
[파묘] 영화 속 음양오행 해석-1 (우주공학도 지관 딸의 시점과 <천문>/스포) [6] file
image
2024.04.15 4621
<삼체> 벌레의 차원을 넘어서라 [10] file
image
2024.04.11 11198
<듄: part2> 액션은 어디로 갔는가? [43] file
image
2024.03.14 159783
[가여운 것들] 이름들의 어원과 나의 창조자인 부모(스포) [24] file
image
2024.03.12 158195
[악은 존재하지 않는다] 노스포 후기 [16] file
image
2024.03.08 17320
<듄: 파트 2> 리뷰 - 모래 위에 피로 쓴 신화 (스포일러) [20] file
image
2024.03.02 15628
<파묘> 무엇을 그리 서둘러 덮으려 하시었소 [38] file
image
2024.02.28 11752
<추락의 해부> 몰락한 것들에 대한 재판 [18] file
image
2024.02.20 7135
<도그맨> 흑화한 강형욱 [20] file
image
2024.02.01 17984
<외계+인 2부> 의외로 세심한 캐릭터의 액션 [16] file
image
2024.01.23 19406
<괴물> 기둥 뒤에 공간 있어요 [10] file
image
2024.01.15 30647
<플라워 킬링 문> 살인의 일상화 [16] file
image
2023.11.14 117171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새엄마는 엄마가 아니잖아 [73] file
image
2023.10.27 126799
<화란> 어둠이 어둠을 건져 올릴 때 [14] file
image
2023.10.23 4566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 8